서울시교육청, 학교 장애인 편의시설 전수조사한다
17일부터 1348곳에 대한 전수조사 시행
서울시교육청이 17일부터 서울시 내 공립유치원과 공·사립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교 총 1348곳에 대한 장애인 편의시설 전수조사를 진행한다.
교육청은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누구나 이용에 불편 없는 무장애 학교생활 환경 조성을 위해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실태를 확인하고, 정비계획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한다고 밝혔다.
교육청은 ‘장애인 편의시설 전수조사 2개년 계획’을 통해 장애학생과 특수학급 유무로 전수조사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이를 실행해 나갈 계획이다.
각 교육지원청별 전수조사 담당자(청별 2인, 총 22인)가 직접 학교를 방문해 모든 건축물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한 뒤, 전수조사표에 따라 매개시설, 내부시설, 위생시설, 안내시설 등 모든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다.
교육청은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예산의 합리적 단계별 운용 방안 △장애학생을 위한 정보 제공과 알 권리 확보 방안 △배정업무의 효율화 등 장애인 편의시설의 효율적·체계적 관리 및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교육청은 17~18일 전농중학교와 강신초등학교에서 전수조사 담당자 교육과 시범조사를 한다. 시범조사에서 교육청은 우창균 서울시의회 의원과 한국장애인개발원의 협조를 받아 전수조사 담당자들이 휠체어 체험을 통해 장애인의 시선으로 전수조사함으로써 조사의 일관성 및 신뢰성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우창균 서울시의원은 “장애인 등이 학교 밖에서뿐만 아니라 학교 안에서도 동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받기 위해 학교는 장애인 편의시설을 기준에 맞게 설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