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약속한 ‘수어통역센터 중앙본부’, 초속한 설치 촉구
한농협, “‘중앙본부’, 2013년 ‘4차 장애인정책 종합계획’에 이미 명시” 농인의 완전한 사회참여 위해 수어통역 중점적으로 관리할 기구 필요 강조
2017-06-12 최한별 기자
한국농아인협회(아래 한농협)가 '수어통역센터 중앙본부' 설치 예산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한농협은 12일 성명서를 "한국 수어 사용자인 농인의 기본적 권리인 언어권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수어통역센터 중앙본부 설치를 위한 예산이 반영될 수 있도록 요구한다"라고 밝혔다.
한농협은 현재 전국 시군구 단위에 수어통역센터가 운영되고 있긴 하지만, 농인들의 다양한 욕구에 맞는 지원체계는 취약한 실정이라고 전했다. 한농협은 이와 같은 상황이 "수어통역센터의 운영을 총괄할 기구가 없어 생기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한농협은 이미 정부에 수어통역센터 중앙본부 설치 및 운영을 요구해왔고, 이것이 2013년 '제4차 장애인정책 종합계획'에 명시되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종합계획이 시행된 지 4년이 지난 지금까지, 정부가 예산을 반영하지 않아 중앙본부 설치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한농협은 중앙본부 설치 예산 반영을 촉구하며 △수어통역센터 통역서비스 지원체계 확립 △공공행사, 행정절차 및 공공시설과 공영방송에 수어통역 지원 확대 △수어통역사 양성 및 관리 체계화 환경 마련 등도 요구했다.
한농협은 "농인은 한국어를 주된 언어로 사용하는 가족 및 국민과의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생활을 영위하기에는 전 생앤에 걸쳐 어려움이 있다"라며 "의사소통 지원에 대한 국가 사회적 차원의 정당한 편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