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산하 기관, 장애인고용 '돈으로 때워'

의무고용률 지키지 않고 고용부담금으로 대신해 시립교향악단, 서울디자인재단 등은 한 명도 고용안해

2010-11-18     박현진 기자

일부 서울시 산하기관들이 장애인 의무고용을 외면하고 고용부담금으로 대신해 ‘돈으로 때운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서울시의회 재정경제위원회 김선갑(민주당) 의원은 15일 서울시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 산하기관 장애인 고용부담금 납부액’ 자료를 분석한 결과, 10월 말 현재 시 산하기관 7곳이 장애인 법정 의무고용을 지키지 않고 고용부담금을 내는 것으로 대신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밝혔다.

 

김 의원이 서울시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2008년부터 2010년 10월 말 현재 서울시 산하기관 8곳이 장애인 의무고용을 지키지 않고 대신 고용부담금 2억1800만 원을 납부해왔다.

 

▲ 장애인을 고용하는 대신 고용부담금을 내고 있는 서울시 산하기관들.

 

부담금을 가장 많이 낸 곳은 시정개발연구원으로 최근 3년간 8,294만 8,000원을 납부했다. 장애인 8명을 의무적으로 고용해야 하는데 1명만 고용했기 때문이다.

 

17명을 고용해야 하는 서울의료원도 장애인을 5명만 고용해 부담금 6,288만 5,000원을 냈고 세종문화회관도 의무고용 인원 7명 중 3명만 채워 2,068만 원을 부담했다.

 

시립교향악단과 서울디자인재단은 장애인을 한 명도 고용하지 않았다. 이들 기관이 고용해야 하는 장애인은 각각 3명과 2명이다.

 

김 의원은 “일부 기관의 경우 장애인을 고용하려는 의지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라고 지적하고 “이들 기관의 인식 개선이 시급하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