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올해 ‘교통약자 이동편의시설 전수조사’ 나선다
‘걷는 도시 서울’ 주요 정책 발표 장애인 등 교통약자 이동편의 위해 노후 보도 정비
서울시가 올해 교통약자가 직접 참여하는 ‘교통약자 이동편의시설 전수조사’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을 담아 ①보도환경 정비 ②교통약자 눈높이 정책 강화 ③도심 도로공간 재편-생활권 내 체감형 보행 공간 확대 ④보행문화축제 확대 등 ‘걷는 도시 서울’ 주요 정책을 19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기초 보행 시설의 빈틈없는 정비를 위해 9개 사업에 546억 원을 투자한다. 유모차나 휠체어도 불편 없이 이동하도록 노후보도 ‘평탄성 확보’를 위한 정비, ‘가공배전선 지중화사업’ 등이 시행된다.
서울시는 울퉁불퉁하고 노후 한 도로를 안전하고 걷기 편한, 평탄한 보도로 정비하는데 서울광장 5배에 달하는 7만㎡의 보도가 그 대상이다. 예년 정비가 대규모 면적에 주력했다면 올해는 10㎡ 이하 소규모 파손 구간에 대한 집중 관리에 주력한다.
교통약자의 눈높이에 맞는 보행환경 정책도 강화된다. 교통약자이동편의시설 보도 분야 기준적합 설치율 80% 달성을 목표로 올해부터 ‘교통약자 이동편의시설 실태 전수조사’,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를 각각 처음으로 시행한다.
올해 처음 시행되는 교통약자 이동편의시설 실태 전수조사는 교통약자가 직접 참여해 보행환경을 점검·개선한다. 교통약자 이동편의 시설이 기준에 맞게 시공됐는지 검증, 인증을 부여하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올해 신규 보행환경개선사업부터 적용한다.
또한, 시각·지체장애인의 안전 확보와 편의증진을 위해 횡단보도 진입부 점자블록 및 턱 낮춤 시설을 정비한다. 용산구 등 21개구 주요 간선도로변(1,037개소)이 올해 시행 대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