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세계 수어의 날’, 그러나 수어 정책은 여전히 제자리걸음
유엔에서는 ‘모두를 위한 수어의 권리’ 선언하는데 "한국, 농교육 자포자기에 수어는 소수자들의 언어로 취급되고 있어"
제2회 세계 수어의 날을 맞아 장애계가 제대로 된 수어 정책을 정부에 촉구했다.
23일은 유엔(UN)이 정한 ‘세계 수어의 날’이다. 유엔은 2017년, 국제장애인권리협약 실천을 위해 9월 23일을 ‘세계 수어의 날’로 정했으며, 지난해 첫 기념행사를 열었다. 올해는 ‘모두를 위한 수어의 권리(Sign Language Rights for All!)’라는 테마로 지난 19일 사이드 이벤트 형식으로 제2회 기념행사를 열었다.
한국 또한 국제장애인권리협약 실천을 위해 2015년 한국수화언어법(아래 한국수어법)을 제정하여 2016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올해로 법 제정 3년째다.
그러나 장애의벽을허무는사람들(아래 장애벽허물기)은 23일 세계수어의 날을 맞아 반가움은커녕 깊은 아쉬움을 표했다.
장애벽허물기는 “한국 농교육은 100년이 넘었으나 한 세기라는 역사에 어울리지 않게 정체성을 잃고 방황하고 있다. 수어 중심의 교육은 자포자기 상태이고, 농학생과 농부모들의 아우성만 들릴 뿐”이라고 자조했다.
이어 “일상생활에서도 마찬가지”라면서 “수어 정책이 확대되고 있으나 수어통역 서비스는 여전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제공되는 서비스도 공급자 중심이며 공공기관의 주요 정보를 수어 자료로 전환하는 일은 손도 못 대고 있다”면서 “수어를 통해 접근하고 수어로 자유롭게 소통할 환경은 아직도 먼 이야기”라고 꼬집었다.
이들은 한국수어법에 따르면 수어는 우리사회 언어의 하나이지만 “여전히 일반 국민들에게 수어는 보편적 언어가 아닌 일부 소수자들의 소통 수단 정도로 인식되고 있다”면서 정부의 편협한 수어 정책을 질타했다.
따라서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모두를 위한 수어의 권리’에 맞는 정책을 국내에서도 만들 수 있어야 한다”면서 한국수어법을 바탕으로 수어와 농인의 권리 향상을 정부에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