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홈리스는 백신 접종률 0%… 백신접종 ‘취약’

[2021 국감] 광주, 울산, 강원 등 9곳 홈리스 접종률 0% 제주, 경북, 세종 등 3곳은 거리 홈리스 실태파악조차 안 돼

2021-10-07     허현덕 기자

‘노숙인 백신접종 사업’의 지역 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홈리스 백신 현황뿐 아니라 제대로 된 실태도 조사되지 않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백신접종 대상 홈리스가 한 명도 없는 지역은 제주, 경북, 세종 등 3곳이다. 광주, 울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등 9곳은 거리홈리스 접종대상자가 파악되었지만 접종률은 0%로 나타났다.

거리노숙인 백신접종 현황. 강선우 의원실 제공 자료 캡처

현재 정부는 미등록 외국인을 포함한 국내 90일 이상 체류 외국인, 해외 출국자, 요양병원 등 신규 입소자 및 종사자, 해외 유학생, 거리노숙인 등을 지자체 자율접종 대상자로 분류해 접종하고 있다. 7월 말 기준 거리노숙인 백신 접종률은 부산 44.3%(39명), 서울 37.6%(224명), 대전 34.2%(13명), 경기 8.5%(11명), 인천 7.7%(9명) 순이었다.  

강선우 의원은 “도시와 지역 간 백신접종 격차가 뚜렷한 것은 지자체 여건에 따라 거리노숙인이 이용할 수 있는 노숙인종합지원센터와 노숙인 일시보호시설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며 “거리노숙인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이에 따라 백신접종도 이뤄질 수 없는 구조다”라고 지적했다. 노숙인종합지원센터는 전국에 11곳밖에 없다. 

이어 “거리노숙인 백신접종은 우리 국민 모두의 건강과 안전과도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다”라며 “코로나19 확산이 수도권과 지방을 가리지 않는데, 지방이양사업이라는 이유로 중앙정부의 책임이 결코 가벼워질 순 없다. 단기적으로는 제대로 된 실태파악에 착수하고, 장기적으로는 지자체별 복지서비스 전달체계를 정비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안형진 홈리스행동 상임활동가는 미국의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차원에서 홈리스에 대한 별도의 접종 지침을 두고 있다고 제시했다. 이를 통해 홈리스에게 정보통신 수단을 제공하고, 홈리스가 모여 있는 곳에 직접 찾아가 백신을 설명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