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기업 65.5%, '정부의 지원정책 모른다'

2011년 장애인기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 36.3%, 장애로 구직·취직 어려워 창업

2012-02-01     홍권호 기자

▲2011년 장애인기업 실태조사에서 장애인기업활동 지원정책 이용률.

 

장애인기업 열 곳 중 여섯 곳 이상이 정부의 장애인기업활동 지원정책에 대해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청이 지난해 9월부터 10월까지 전국 2,500개 장애인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2011년 장애인기업 실태조사'를 보면 장애인기업활동 지원정책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한 장애인 기업은 34.5%에 불과했다.

 

장애인기업은 장애인기업활동촉진법에 따라 장애인이 소유하거나 경영하는 기업이면서 해당 기업에 고용된 상시근로자 중 장애인의 비율이 30% 이상인 기업을 말한다.

 

정책별 이용 경험은 △자금지원(34.5%) △창업교육(16.7%) △창업컨설팅(11.5%) △판로지원(7.2%) △기업교육(5.8%) 순이었고, 가장 필요한 지원정책으로는 금융지원을 뽑았다.

 

공공기관 입찰이나 정부 자금지원에서 우대를 받을 수 있는 증명서인 '장애인기업 확인서'를 발급받은 기업은 19.4%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에 납품한 경험이 있는 기업의 비율은 17.2%에 머물렀으며, 조사과정에서 본인의 회사가 장애인기업활동촉진법에 따른 장애인기업인지 모르는 경우도 있었다.

 

특히 장애인기업의 88.7%가 개인사업체, 93.0%는 소상공인으로 기업의 규모가 적고 종사자의 수도 평균 3.14명으로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노동자의 수는 1.27명으로 상시근로자 중 장애인의 비율은 40.6%에 이르렀다.

 

경영상의 애로사항은 △자금조달(31.9%) △판매선 확보 및 마케팅 관리(25.8%) △기술개발 (6.1%) △원자재 조달 등 생산관리(5.8%) △대금수령(4.4%) △경영관련 정보 획득(4.3%) 순이었다.

 

장애인기업의 평균 자본금은 2009년 1억 6,540만 원에서 2010년 1억 6,340만 원으로 1.2%p 감소했고, 매출은 2009년 2억 1,760만 원에서 2010년 2억 3,780만 원으로 9.2%p 증가했다.

 

장애인기업 대표자의 장애유형은 △지체장애(72.2%) △시각장애 (10.6%) △청각장애(6.5%) △뇌병변장애(4.7%) 순이었다.

 

대표자의 창업 동기는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할 수 있어서(29.2%) △장애 때문에 구직활동이 어려워서 (20.7%) △장애 때문에 직장활동이 어려워서 (15.6%)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이 커서(10.3%) △특별한 기술 없이도 가능해서(9.8%)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