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상버스 확대, 휠체어 이용가능 고속버스 개발 등 계획 밝혔으나
“실질적 이동편의 증진 도외시한 말뿐인 계획” 비판

지난해 11월 시외이동권 소송 현장 검증에 앞서 장애인 당사자가 휠체어 리프트를 장착한 시외버스에 탑승하는 모습.
지난해 11월 시외이동권 소송 현장 검증에 앞서 장애인 당사자가 휠체어 리프트를 장착한 시외버스에 탑승하는 모습.
국토교통부가 2021년까지 전국 시내버스 중 저상버스 비율을 확대하고, 특별교통수단 법정보급대수 100%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휠체어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고속∙시외버스를 개발할 예정이라고도 전했다.
 
국토교통부가 14일 발표한 '제3차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17~’20)'은 △교통수단 이동편의시설 개선·확충 및 저상버스·특별교통수단 확대 △교통시설 이동편의시설 개선 및 확충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연구개발 사업 추진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교통수단 이동편의시설 기준 적합 설치율을 일반버스의 경우 82%까지, 저상버스, 철도차량, 항공기 등은 90% 이상을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2021년까지 전국 시내버스의 42%를 저상버스로 보급하고, 모든 지자체의 특별교통수단 법정보급대수 100% 달성을 완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번 계획에는 휠체어 이용자 탑승이 가능한 고속∙시외버스 표준모델을 2020년까지 개발하고 농어촌 지역 및 소규모 마을 운행이 가능한 중형 저상버스 표준모델은 2019년까지 상용화 하겠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그러나 장애계는 국토교통부의 3차 이동편의 증진계획이 '말잔치'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조현수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조직국장은 "휠체어 이용 가능 고속∙시내버스 모델은 이미 국토교통부에서 오랫동안 '연구'해왔다. 더구나 이미 외국에서 이미 상용화되어 있기 때문에, 국내 적용에 무리가 없다"라며 "예산만 투입하면 얼마든지 상용화가 가능한데, 언제까지 연구개발만 하겠다는건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조 국장은 저상버스 도입률 역시 "2차 계획에 비해 겨우 0.5% 확대된 것에 불과하다"며 "국토교통부의 소극적 의지는 큰 문제라고 본다"라고 전했다.
 
조 국장은 특히 특별교통수단 법정대수 100% 달성 목표와 관련해서는 "현재 특별교통수단이 한 대도 없는 시, 군 단위가 많은데 국토교통부는 이런 현실은 반영하지 못한 채 단순 통계에만 매달리고 있다. 이는 특별교통수단의 실질적인 확대를 가로막는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라고 우려를 표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비마이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