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원대책위, 대구서 집중집회 열어 민간위탁 폐기·조환길 대주교 사퇴 촉구
지난해 희망원 간부급 24명 사표 제출...사표 수리는 ‘0건’
대구시립희망원의 운영비리와 인권침해로 인해 전 원장 신부 등 7명이 구속기소되는 등 문제점이 속속 드러나고 있지만, 대구시의 사태 해결 의지는 여전히 미온적이다. 대구시는 희망원을 운영해 온 대구구천주교회유지재단의 법인 설립허가 취소, 관련 공무원 중징계 등의 조치는 외면한 채, 지난 23일 희망원의 새 민간위탁 대상자 모집 공고를 냄으로써 사태를 수습하려 하고 있다.
이에 대구시립희망원대책위는 30일 오후 3시부터 대구 계산성당 앞에서 전국 집중 결의대회를 열고, 책임자에 대한 강력한 처벌 및 희망원 민간위탁 폐기와 시설 폐쇄, 탈시설 정책 강화 등을 요구했다.

대구구천주교회유지재단은 지난해 10월 13일 각종 언론보도를 통해 시설 내 비리 및 인권침해 문제가 불거지자 희망원 산하 시설장 4명을 포함한 간부급 24명이 사표를 제출했고, 11월 7일에는 희망원 운영권 반납의사를 표명했다. 그러나 해를 넘긴 지금까지 사표가 수리된 것은 단 한 건도 없고, 재단은 여전히 희망원을 운영 중이다.
대구시 또한 이달 초 희망원에 대한 특별감사를 시행했지만, 기존 국가인권위원회 및 검찰 중간수사결과 발표 내용과 다르지 않은 부분만 확인했고, 비리 관련 공무원 11명에 대해서도 경징계 등 솜방망이 처벌에 그쳤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게다가 대구시는 오는 6월부터 새로운 기관에 희망원을 위탁 운영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고 서둘러 새 위탁기관 모집 절차에 들어갔다.
이날 집회에서는 천주교 재단 측과 대구시의 이와 같은 무책임한 태도를 성토하는 목소리로 가득 찼다.
황성원 희망원노조 지회장은 “얼마 전 대구시 담당자와 대화를 나눴는데, 그는 민간위탁 기관 중 가톨릭이 가장 깨끗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현실을 보라. 그들은 가장 가난한 이들의 밥그릇을 빼앗고, 가장 약한 사람들에게 폭행을 가했다”면서 “대구시는 민간위탁이라는 방식으로 그저 책임을 떠넘길 또 다른 대상을 찾는데만 혈안이 되어 있다”라고 꼬집었다.
황 지회장은 “천주교대구대교구 조환길 대주교는 이 사태의 모든 책임을 지고 즉각 물러나야 한다. 그리고 관련된 모든 부역자들이 처벌되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은재식 우리복지시민연합 사무처장은 “희망원은 1997년부터 직원의 말을 듣지 않는다, 술 냄새가 난다, 외출·외박 후 늦게 귀가했다 등의 이유로 감금하는 독방, 이름하여 ‘심리안정실’을 운영해 왔다”면서 “97년 이전에는 쇠창살에 가두는 곳이 있었다는 증언도 있다”고 전했다.
은 사무처장은 “그러나 감금 혐의로 기소된 전 원장 포함 7명은 이 독방이 느슨하게 운영되어왔다면서 문제가 없다고 하는 상황”이라며 “대구대교구 또한 이 문제가 몇몇 신부들의 개인일탈이라면서도 대형로펌을 고용해 범죄자를 구출하려 하고 있다”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 모든 사태의 중심에 조환길 대주교가 있다”며 “이 순간부터 천주교 재단은 희망원에 손을 떼고, 대구시가 직접 운영하면서 책임을 져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희망원에서는 지난 2010년 1월부터 2016년 8월까지 총 6년7개월 동안 309명의 생활인(전체 정원 1000여 명 중 26.9%, 연 평균 46.9명)이 사망했다. 대책위는 이 수치가 2015년 기준 국내 1000명당 사망자(5.4명)의 7.5배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박명애 420장애인차별철폐대구투쟁연대 공동대표는 “우리는 이렇게 사진도 없이 그림자로만 남은 분들의 삶을 생각해야 한다”며 “이렇게 많은 사람들을 시설 안에서 소리 소문도 없이 죽어가게 만든 희망원이라는 시설을 반드시 없애자”라고 외쳤다.
대책위는 집회를 마치고 대구시청까지 행진해 이동했으며, 이후 시청 앞에서 1박 2일 농성 투쟁을 이어갈 예정이다. 현재 대책위는 대구시청 민원실 등을 점거하고 대구시의 책임있는 대책 제시를 요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