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정보문화누리, 선관위에 대선 토론회 수어 통역 개선 요구
“미국 대선 토론회 생중계때도 통역은 2명이었는데…수어 통역사도 늘려야”

중앙선관위 관악청사 앞에서 진행된 '선거 방송 토론회의 수화통역 개선 요구' 기자회견이 진행되고 있는 모습. ©장애인정보문화누리
중앙선관위 관악청사 앞에서 진행된 '선거 방송 토론회의 수화통역 개선 요구' 기자회견이 진행되고 있는 모습. ©장애인정보문화누리

청각장애인들이 '참정권 보장'을 촉구하며 선거관리위원회(아래 선관위)에 대선 토론회 수화언어(아래 수어)통역 제공 방식 개선을 촉구했다.
 
28일 오전 11시 30분, 장애인정보문화누리 회원들은 중앙선관위 관악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이들은 △출연자(토론자 및 사회자) 1인당 수어 통역 1인 한 화면 배치를 원칙으로 최소 3인의 통역사 동시 배치 △수어 통역 창 확대 △방송사별 통역인 각각 배치 등이 이번 대선 기간 안에 반드시 시행될 수 있도록 하라고 선관위에 요구했다.
 
현재 대선후보 토론회에는 사회자 및 후보자 5인, 총 6인의 토론을 수어 통역사 한 명이 통역했다. 이로 인해 청각장애인들은 "어느 후보가 이야기하는지 파악되지 않는다'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수어 통역 창이 작아 수어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도 지적되고 있다. 청각장애인마다 이해하기 쉬운 수어 표현이 다양하므로 방송사마다 별도로 수어 통역사를 두어 청각장애인이 편리한 수어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도 제기된다. (관련 기사: 5명 후보 수화통역하다 끝나면 실신할 지경...방송사는 왜 개선 노력 없나?)
 
장애인정보문화누리는 "대선 준비 기간이 짧아 방송 토론이 후보자의 정책과 자질을 알 수 있는 주요 채널이 되었다"라며 "그럼에도 대선 방송 수어 통역 제공 방식에 문제가 있어 청각장애인의 참정권이 침해받고 있는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그뿐만 아니라, 장애인정보문화누리는 방송토론 등 선거 관련 방송의 수어 통역인 배치, 전송 등과 관련하여 모든 방송사에 적용될 수 있는 지침 마련 및 공직선거법에서 임의 규정으로 되어 있는 수어 통역 제공을 의무규정으로 개정할 것 등을 추가로 요구했다.
 
기자회견을 마친 후 진행된 면담에서, 선관위는 "방송국과 논의는 해보겠으나 아직은 수어 통역 제공이 '임의규정'으로 되어 있고, 예산상 부담도 가지고 있어 강제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라며 "방송국 논의 결과는 2일에 알려주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박미애 장애인정보문화누리 활동가는 "작년 미국 대선 기간 당시 대선 후보 토론회를 한국 방송사에서 동시통역을 제공하며 생중계한 적이 있었다"라며 "당시 남, 여 통역사 두 명이 각각 트럼프 후보와 클린턴 후보 통역을 담당했다"고 전했다. 실제로, YTN에서 미 대선 후보 토론회를 생중계하며 동시통역사 두 명을 배치했다.
 
박 활동가는 "영어 통역사와 수어 통역사는 통역비 차이도 어마어마하다. '예산 때문에'라는 것은 어디까지나 방송사 의지의 문제"라며 "이런 부분을 선관위에서 강하게 권고해야 의지가 없는 방송사라도 제대로 된 수어 통역을 제공할 것 아니겠나"라며 선관위의 강한 행동을 촉구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비마이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