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어영상의 크기, 위치 그리고 켜짐과 꺼짐 조절 가능
방통위, ‘스마트 수어방송 상용화 추진협의체’ 구성

스마트 수어방송서비스의 예시. 방송통신위원회 제공
스마트 수어방송서비스의 예시. 방송통신위원회 제공

앞으로 수어방송에서 수어영상의 크기, 위치 그리고 켜짐과 꺼짐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 21일 현행 수어방송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스마트 수어방송서비스 상용화 추진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기존의 수어방송은 방송화면에 고정된 형태로 제공돼 시청자에 맞춰 수어영상의 크기 조절 불가능했다. 또한 수어영상의 크기는 전체 화면의 16분의 1이라 청각장애인의 시청권이 충분히 보장되지 않았다. 하지만 스마트 수어방송서비스는 방송영상과 수어방송영상을 각각 방송망과 인터넷망으로 송출하고 가정의 셋톱박스에서 합성해, 텔레비전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므로 수어영상의 크기 및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이날 발표된 상용화 추진계획에 따르면, 상용화 서비스 개시 시점은 2019년 상반기로 하되, 참여사업자는 중앙지상파, 종합편성·보도 채널 및 주요 케이블·IPTV 등 국민 대다수가 이용하는 방송사로 점차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스마트 수어방송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금년 3월부터 관련 방송사업자, 업계 관계자, 전문가 및 학계 인사가 참여하는 ‘스마트 수어방송 상용화 추진협의체’가 구성·운영된다. 이를 통해 상용화 참여 사업자 확대, 참여 사업자 인센티브 부여 및 저소득층 등에 대한 제도적·정책적 지원방안을 마련해 나갈 예정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의 공익성 구현 차원에서 스마트 수어방송이 조기에 정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취약계층의 방송접근권이 지속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비마이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