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이 직접 참여한 종합조사표 모의 평가로 정부의 허위 주장 밝혀낼 터”
장애계는 오는 7월 장애등급제 단계적 폐지를 앞두고 정부가 선보인 ‘종합조사표’가 맞춤형 서비스는커녕 기존의 활동지원서비스 시간조차 보장하지 못한다고 비판하며, 온라인 ‘종합조사표 모의 평가’를 시행해 정부의 주장이 허구라는 것을 밝히겠다고 선언했다.
정부는 ‘장애등급제 폐지 3차 시범사업’에 걸쳐 기존 활동지원급여 수급자 1886명을 대상으로 종합조사표를 모의 적용했고, 그 결과 860명(45.76%)은 급여가 감소했고, 246명(13.52%)은 수급에서 탈락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런데 갑자기 4월 15일 보건복지부가 주최한 토론회에서 588명에 대한 모의 적용 결과를 내보이며, 보전방안 미적용 시 평균 1.84시간이 늘고 보전방안 적용 시에는 평균 7.14시간이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장애계는 “점수조작”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장애계는 “정부는 월평균 7.14시간이 늘어난다고 걱정하지 말라고 하지만 모의 평가를 한 당사자 대부분은 시간 하락을 호소하고 있다”며 “온라인으로 종합조사표를 모의 평가해서 종합조사표의 허구와 정부의 점수조작에 대응해야 한다”며 많은 참여를 당부했다. 이번 온라인 모의조사 평가는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전국장애인부모연대,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 등이 제작했다.
관련기사
- 장애인 당사자 목소리 무시한 채 ‘거꾸로 가는 종합조사표’
- 등급제 폐지 이후 도입되는 ‘종합조사표’ 시각장애인에겐 불리… 이유는?
- 장애등급제 폐지 후 도입될 종합조사도구, 장애인에게 직접 적용해보니
- 장애인 당사자 목소리 무시한 채 ‘거꾸로 가는 종합조사표’
- 종합조사도구, 기존 활동지원 이용자에게 직접 적용해보니 ‘3.4시간’ 삭감
- 대국민 사기극 ‘장애등급제 폐지’, 기획재정부 장관 현상수배하는 농성장 세워
- 종합조사표 두고 갑론을박 “예산 늘려야 유형별 욕구 반영할 수 있어”
- 뇌병변장애인 활동지원시간 떼서 시각장애인에게… 복지부가 장애유형 간 싸움 붙이고 있다
- 한자협, 9시간 만에 농성 해제… 6월 내에 복지부 장관 면담하기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허현덕 기자
hyundeok@bemino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