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6곳 추가 개소한 뒤 2020년까지 전 자치구 설치 목표
평생교육센터로 발달장애인 지역사회 적응 및 자립 지원

15일 광진구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가 문을 열었다. 서울시에서 12번째 맞이한 평생교육센터다. 그동안 서울 소재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는 2016년 노원∙은평 센터를 시작으로, 2017년 동작∙마포∙성동, 2018년 종로∙관악∙성북∙도봉∙강동, 그리고 올해 5월 30일 양천 센터가 문을 여는 등 11개소가 운영 중이었다.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는 만 18세 이상 성인 발달장애인 가운데 계속 교육을 받고자 하는 이들을 위해 사회적응훈련 및 직업능력향상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곳이다. 발달장애란 자폐성장애와 지적장애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서울시는 “발달장애인 비율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라며 “서울시 등록 장애인(393,562명) 가운데 발달장애인 비율은 2016년 7.7%(30,258명)에서  2017년 7.9%(31,055명), 2018년 8.1%(32,029명)로 매년 0.2%P씩 증가 추세를 보였다”고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보건복지부의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를 보면 87.3%가 평생교육을 경험하지 못했다. 또 2017년 서울시 발달장애인 전수조사 결과 성인 발달장애인의 49%가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인 발달장애인의 39.9%는 낮 시간을 집에서만 보내는 등 지역사회에서 고립 상태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센터는 기존 복지시설 이용이 어려웠거나 집중 지원이 필요한 발달장애인을 우선 선발한다. 센터별 이용정원은 30명이다.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는 의사소통∙일상생활훈련∙ 사회적응∙긍정적 행동지원 등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며, 이용 당사자의 개별 특성에 따라 수영∙요리∙요가∙미술 등 다양한 문화∙여가 프로그램도 제공하고 있다.

서울시는 2020년까지 25개 전 자치구에 1개소 설치를 목표하고 있다. 하반기에는 6개소가 더 문을 열 예정으로 개소 예정인 자치구는 중랑구, 송파구, 서대문구, 강북구, 구로구, 강남구다. 중랑구는 오는 23일까지, 강북구∙송파구는 9~10월 안에, 서대문구∙구로구∙강남구는 10~12월 중으로 이용자를 모집할 예정이다. 이용자 모집과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해당 자치구 및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에 문의하면 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비마이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