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들이 세종시청 엘리베이터 운행을 저지하고 있는 모습. 사진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장애인들이 세종시청 엘리베이터 운행을 저지하고 있는 모습. 사진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27일 3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 장애인권단체는 특별교통수단 문제해결을 촉구하며 세종시청 건설교통국 국장실을 긴급 점거했다. 사진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27일 3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 장애인권단체는 특별교통수단 문제해결을 촉구하며 세종시청 건설교통국 국장실을 긴급 점거했다. 사진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27일 3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아래 전장연) 등 장애인권단체는 특별교통수단 문제해결을 촉구하며 세종시청 건설교통국 국장실을 긴급 점거했다. 

이미 장애계는 지난 9월 22일 한 차례 조상호 경제부시장과 김태오 건설교통국장과 면담을 갖고, 세종시 특별교통수단인 ‘누리콜’의 양적·질적 제고를 위한 8대 요구안을 제시한 바 있다.

장애계는 특히 9년째 세종시지체장애인협회에 민간위탁으로 운영하는 ‘누리콜’을 공공기관에서 운영할 것과 세종시 전체에 17대뿐인 특별교통수단을 2021년 8대, 2022년 9대 2년간 총 17대 증차 계획 수립을 요구했다. 또한 수개월 전 누리콜에서 벌어졌던 성추행 사건을 은폐하고 있는 세종시지체장애인협회를 특별감사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그러나 세종시 측은 면담에서 누리콜 공공운영은 효율성을 핑계로 거부했고, 증차는 내년까지 단 2대밖에 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더욱이 민간위탁 기관에 대해 법적권한이 없다는 핑계를 대며 성추행 사건피해자 보호에 나설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문경희 이용자연대 대표는 “누리콜은 불친절은 말할 것도 없고, 최근 성폭력 사건이 불거졌다. 이러한 민간위탁 문제를 4년 전부터 제기했고, 두 달 전부터 세종시와 면담을 했다. 우리가 가장 원하는 것은 누리콜의 공공성강화이다. 그러나 세종시는 내년에 차량 두 대 증차, 24시간 운행, 차고지 1개 추가 등으로 7억 원 예산을 확보할 테니, 민간위탁을 계속 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제 더 이상 기다릴 수 없어서 세종시장을 만나러 올 수밖에 없었다”고 점거 이유를 밝혔다. 

장애인활동가들이 세종시청 건설교통국 국장실 유리창에 '교통약자들의 이동권을 보장하라', '특별교통수단 공공운영을 약속하라'라는 메모를 붙였다. 사진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장애인활동가들이 세종시청 건설교통국 국장실 유리창에 '교통약자들의 이동권을 보장하라', '특별교통수단 공공운영을 약속하라'라는 메모를 붙였다. 사진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장애인들이 점거하고 있는 세종시청을 에워싸고 있는 수십 명의 경찰들과 항의 집회를 하고 있는 장애인활동가들. 사진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장애인들이 점거하고 있는 세종시청을 에워싸고 있는 수십 명의 경찰들과 항의 집회를 하고 있는 장애인활동가들. 사진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장애인들이 점거하고 있는 세종시청을 에워싸고 있는 수십 명의 경찰들. 사진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장애인들이 점거하고 있는 세종시청을 에워싸고 있는 수십 명의 경찰들. 사진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비마이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