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3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아래 전장연) 등 장애인권단체는 특별교통수단 문제해결을 촉구하며 세종시청 건설교통국 국장실을 긴급 점거했다.
이미 장애계는 지난 9월 22일 한 차례 조상호 경제부시장과 김태오 건설교통국장과 면담을 갖고, 세종시 특별교통수단인 ‘누리콜’의 양적·질적 제고를 위한 8대 요구안을 제시한 바 있다.
장애계는 특히 9년째 세종시지체장애인협회에 민간위탁으로 운영하는 ‘누리콜’을 공공기관에서 운영할 것과 세종시 전체에 17대뿐인 특별교통수단을 2021년 8대, 2022년 9대 2년간 총 17대 증차 계획 수립을 요구했다. 또한 수개월 전 누리콜에서 벌어졌던 성추행 사건을 은폐하고 있는 세종시지체장애인협회를 특별감사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그러나 세종시 측은 면담에서 누리콜 공공운영은 효율성을 핑계로 거부했고, 증차는 내년까지 단 2대밖에 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더욱이 민간위탁 기관에 대해 법적권한이 없다는 핑계를 대며 성추행 사건피해자 보호에 나설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문경희 이용자연대 대표는 “누리콜은 불친절은 말할 것도 없고, 최근 성폭력 사건이 불거졌다. 이러한 민간위탁 문제를 4년 전부터 제기했고, 두 달 전부터 세종시와 면담을 했다. 우리가 가장 원하는 것은 누리콜의 공공성강화이다. 그러나 세종시는 내년에 차량 두 대 증차, 24시간 운행, 차고지 1개 추가 등으로 7억 원 예산을 확보할 테니, 민간위탁을 계속 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제 더 이상 기다릴 수 없어서 세종시장을 만나러 올 수밖에 없었다”고 점거 이유를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