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기획위원회에서 긴급행동을 벌이는 박경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가 종이 피켓을 들고 권리중심공공일자리 국정과제 반영을 요구하고 있다. 그 앞을 국정위 관계자가 막고 있다. 사진 김소영
국정기획위원회에서 긴급행동을 벌이는 박경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가 종이 피켓을 들고 권리중심공공일자리 국정과제 반영을 요구하고 있다. 그 앞을 국정위 관계자가 막고 있다. 사진 김소영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아래 전장연)가 23일 오전 11시 10분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아래 권리중심공공일자리)’를 국정과제에 반영할 것을 요구하기 위해 국정기획위원회(아래 국정위)에서 긴급행동을 벌였다.

지난 18일 진행된 인사청문회에서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의 권리중심공공일자리 질의에 대해 “기존 장애인일자리와 비교하고 실행할 수 있을지 검토”하겠다는 미온적 답변을 내놓았다. 전장연은 “이는 결국 행정부 수장의 공약에 반하는 입장”이라며 긴급행동을 감행했다. 실제로 이재명정부의 최종 공약에는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 확대’가 포함돼 있다.

이재명정부의 최종 공약집에 ‘중증장애인맞춤형 공공일자리 확대’가 적혀 있다. 
이재명정부의 최종 공약집에 ‘중증장애인맞춤형 공공일자리 확대’가 적혀 있다. 

전장연 활동가들은 국정위에 직접 찾아가 이한주 위원장과의 면담을 요청했다. 현장을 찾아온 국정위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장을 맡고 있는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이태호 기획분과위원, 서연희 사회1분과 위원이 권리중심공공일자리 요구안을 받아 갔다.

국정기획위원회에서 긴급행동을 벌이는 박경석 전장연 상임공동대표가 종이 피켓을 들고 있다. 종이에는  “보건복지부는 권리중심공공일자리 인정하라!”,  “또, 또, 또 권리중심노동 외면?”이라고 적혀있다. 사진 김소영
국정기획위원회에서 긴급행동을 벌이는 박경석 전장연 상임공동대표가 종이 피켓을 들고 있다. 종이에는  “보건복지부는 권리중심공공일자리 인정하라!”,  “또, 또, 또 권리중심노동 외면?”이라고 적혀있다. 사진 김소영
박경석 전장연 상임공동대표가 이태호 위원에게 요구안을 전달하고 있다. 사진 김소영
박경석 전장연 상임공동대표가 이태호 위원에게 요구안을 전달하고 있다. 사진 김소영

이태호 위원은 “공약대로 최선을 다할 것”이라면서도 “‘권리 중심’이라는 단어는 여태껏 쓴 적이 없다. 큰 싸움”이라고 발언했다. 서연희 위원은 “요구안을 분과장에게 전달하고 열심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석 전장연 상임공동대표는 “장애인 당사자를 배제하고 열심히 해선 안 되는 것”이라며 권리중심공공일자리 국정과제화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국정위에서 벌여진 긴급행동 현장. 경찰들이 현장을 둘러싸고 있다. 사진 김소영
국정위에서 벌여진 긴급행동 현장. 경찰들이 현장을 둘러싸고 있다. 사진 김소영
국정위 외부에 있던 활동가들은 종이 피켓을 
국정위 외부에 있던 활동가들은 종이 피켓을 국정위 건물 바깥 창문에 붙였다. 사진 김소영

전장연과 전국권리중심중증장애인맞춤형공공일자리협회,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는 이날부터 국정위에 △권리중심 공공일자리 국정과제 반영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차별 없는 지원 강화를 촉구하며 국정위 앞에서 무기한 농성에 돌입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비마이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