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TV 및 전자태그로 장애인차량 여부 감지
국비 7억 원 지원받아 15개 공공기관에 설치
인천시가 보건복지부에서 추진하는 장애인전용주차 모니터링 시스템 시범사업 지방자치단체로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시범사업은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차단막을 설치하고 차량이 주차를 시도하면 CCTV 및 전자태그를 이용해 탐지, 장애인 주차가능차량 표지를 부착한 장애인 차량만이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차단막을 설치할 수 없을 경우에는 경보음 및 차량 이동을 안내하는 방송이 나오고 중앙통제본부에서 주차단속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된다.
지난 3일 보건복지부는 전국 16개 시·도를 대상으로 이번 시범사업 공모를 실시했다. 사업선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대상자로 선정된 인천시는 앞으로 총 7억 원의 국비를 지원받아 15개 공공기관에 장애인전용주차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하게 된다.
인천시는 “불법주차로 인하여 제기되는 장애인의 민원사항이 감소되고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불법주차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시범사업은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차단막을 설치하고 차량이 주차를 시도하면 CCTV 및 전자태그를 이용해 탐지, 장애인 주차가능차량 표지를 부착한 장애인 차량만이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차단막을 설치할 수 없을 경우에는 경보음 및 차량 이동을 안내하는 방송이 나오고 중앙통제본부에서 주차단속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된다.
지난 3일 보건복지부는 전국 16개 시·도를 대상으로 이번 시범사업 공모를 실시했다. 사업선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대상자로 선정된 인천시는 앞으로 총 7억 원의 국비를 지원받아 15개 공공기관에 장애인전용주차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하게 된다.
인천시는 “불법주차로 인하여 제기되는 장애인의 민원사항이 감소되고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불법주차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