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화공대위, 대선후보 누리집 장애인 접근 차별 진정
"복지국가 외치기 전에 장애인 접근성 보장해야"

▲대선 예비후보 홈페이지 장애인 접근차별 인권위 진정에 앞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대선 예비후보 누리집이 장애인 접근성을 보장하지 않아 장애인을 차별하고 있다며 수화언어 권리확보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아래 수화공대위)가 7일 국가인권위원회(아래 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했다.

 

진정서 접수에 앞서 7일 이른 11시 인권위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장애인정보문화누리 안세준 고문은 “대선 예비후보들의 홈페이지를 보면 동영상에 자막이 없어 나 같은 청각장애인은 내용을 알 수 없다”라면서 “얼마 전에 박근혜 후보의 홈페이지에 갔다가 시민의 목소리를 영상으로 올려놓은 것이 있어 보려 했는데 자막이나 수화 통역이 없어 보지 못했다”라고 토로했다.

 

안 고문은 “대선 후보들이 복지국가를 만들겠다고 외치지만 말고 장애인들이 정보를 원활히 얻을 수 있도록 홈페이지를 개선해야 할 것”이라면서 “또한 농아인들이 요구하는 수화언어의 법적 지위 향상은 물론 수화를 제2외국어로 채택할 수 있는 공약을 대선 후보들이 발표해줄 것을 요구한다”라고 촉구했다.

 

장애인정보문화누리 김세식 이사는 “홈페이지를 공식적으로 개설한 예비후보 홈페이지들이 접근 환경을 만들려는 노력이 보이지만 여전히 접근이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특히 홈페이지에 게시된 동영상의 경우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체텍스트나 음성 설명,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이나 수화통역이 거의 제공되지 않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김 이사는 “이에 우리는 차별받았다고 제보한 장애인 12명을 대신해 인권위에 차별 진정을 한다”라면서 “진정하는 사안이 시간을 다투는 내용인 만큼 하루빨리 인권위가 조사해주길 요청한다”라고 밝혔다.

 

이날 수화공대위가 차별 진정을 한 대선 후보는 박근혜, 문재인, 안철수, 심상정 후보 등 4명이다.

 

한편, 장애인정보문화누리가 진정에 앞서 대선후보 누리집을 조사한 내용을 보면 박근혜, 문재인, 안철수 후보는 동영상에 자막(또는 수화)과 화면설명(또는 텍스트)을 대부분 제공하지 않았고, 심상정 후보는 일부만 지원했다.

 

이어 사진 등 이미지에 시각장애인이 알 수 있도록 텍스트를 제공한 비율은 박근혜 후보 60%, 안철수 후보 34%, 심상정 후보 33%, 문재인 후보 11%였다.

 

▲장애인정보문화누리 김세식 이사가 인권위에 진정서를 제출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비마이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