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단체와의 면담 약속 이행하지 않으면서 서민 중심 복지 시장 포부 밝혀

▲ 대학생사람연대 빈곤철폐현장활동 소속 대학생들이 기자회견 중에

오세훈 서울시장 사진 위에 '거짓말쟁이'라고 적힌 종이를 붙이고 있다. 

7월 1일. 오세훈 서울시장의 3주년 취임일이자, 시설에서 나온 중증장애인들이 서울 종로구 마로니에 공원에서 노숙농성을 시작한 지 28일째가 되는 날, 서울 덕수궁 대한문 앞에서는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서울장차연, 석암비대위, 탈시설공투단 주최로 오세훈 서울 시장의 면담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이 열렸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해 12월 24일 서울 노원구 하계동 동천의 집에서 장애인 단체 대표들과 면담을 갖고 탈시설-자립생활 권리 보장 요구에 대한 답변으로 3월에 서울시정연구개발원의 탈시설욕구조사 결과가 나오면 2~3개월 준비해서 6월에 만나자고 한 바가 있다. 서울시정연구개발원의 탈시설욕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거와 활동보조지원 등이 이루어질 경우 생활시설거주인의 70%가 시설에서 나와 지역사회에서 살고 싶다고 응답했다.

주최 측은 지난 5월 말부터 오세훈 서울시장과의 면담을 계속 요구했으나 아직까지 서울시는 면담 약속 이행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서울시는 지난 6월 11일 중증장애인 35명이 서울시에 접수한 ‘탈시설-자립생활 지원’에 대한 민원에 대한 답변으로는 중앙정부 차원의 제도개선과 지원이 필요하다고만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6월 29일 취임 3주년 기자간담회에서 ‘김치 같은 시장이 되겠다’, ‘서울형 복지시스템 정착을 역점 사업으로 삼겠다’고 말하며 서민 중심의 복지 시장으로서의 포부를 밝혔지만, 정작 아직까지 장애인들과의 면담 약속은 지키고 있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다시 한 번 면담 약속 이행을 촉구했다.

이번 기자 회견에서는 대학생사람연대 빈곤철폐현장활동 소속 100여명이 함께 참여하여 율동을 선보이기도 했다. 기자회견에서 대표로 발언한 대학생은 “인권에서 자기 결정권이 가장 중요한데 생활시설에서는 자기 결정권이 아무래도 제약받을 수밖에 없다. 그런 측면에서 생활시설거주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살면서 자기 결정권을 누릴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서 탈시설-자립생활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 오세훈 서울시장 면담 촉구 기자회견.

▲ 대학생들의 율동에 기자회견 참가자들이 즐거운 표정을 짓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비마이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