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례 개정 통해 '특수교육자문위' 설치도 논의 중
7월 1일 취임식에 맞춰 최종 정책으로 확정

▲지난 5월 27일 서울시교육감 조희연 후보가 장애인단체들과 장애인교육정책 협약식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

 

오는 7월 1일 취임하는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당선자 인수위원회가 소규모 특수학교 8개 추가 설치 등 장애학생지원 강화를 위한 구체적 정책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장 특수교사 및 장애인단체 관계자들로 구성된 인수위 책임교육분과 장애학생 TF팀(테스크포스팀-특별전담반)은 지난 20일까지 진행된 수차례 회의를 거쳐 총 5개 항목의 장애학생 지원 강화 정책을 확정 짓고, 서울시교육청 실무진과 세부 협의에 들어갔다.

 

TF팀은 현재 서울 시내 행정구역별 특수학교 설치 불균형 때문에 학생 과밀, 원거리 통학 등의 문제가 발생해 교육의 질이 저하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전공과를 포함한 중등학교 과정 소규모 특수학교 8개교를 추가 설치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현재 서울시에 특수학교가 설치되지 않은 자치구는 동대문, 중랑, 중구, 양천, 성동, 서초, 금천, 영등포 등 총 8개 자치구다.

 

TF팀은 또 특수학급 설치 유치원을 희망하는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특수학급을 설치하는 유치원이 그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75개를 설치하는 방안도 내놨다.

 

TF팀은 이외에도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자문위원회 설치·운영 조례' 개정을 통한 특수교육자문위원회 설치 △특수학급 설치 고등학교에 진로직업교육 담당교사 추가 배치 등 진로직업교육 강화 △특수교육지원센터에 순회교사 법정 정원(44명) 배치 등 특수교육지원센터 내실화 △학교형태의 장애인 평생교육시설 지원 확대 등의 계획을 제시했다.

 

TF팀의 이번 정책안은 조희연 당선자가 교육감 선거운동 당시 장애인 단체들과 맺은 장애인교육정책 협약 내용을 바탕으로 이의 실질적 실행을 위한 방안으로 제시됐다.

 

인수위는 이번 주 내로 이번 정책안과 관련해 서울시교육청 실무진과 세부 협의를 거친 후 7월 1일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취임식에 맞춰 최종 정책으로 확정할 예정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비마이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