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니스트 프란시스 라이언, 기고에서 지적
“장애인 흉내 내는 연기, 흑인 흉내와 다르지 않아”

영화 <사랑에 대한 모든 것>(2014)은 세계적인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에 대한 일화를 다룬 작품이다. 이 영화의 주연을 맡은 에디 레드메인은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을 앓고 있는 장애인 스티븐 호킹 역할을 ‘흠 잡을 데 없이’ 훌륭하게 해냈다는 평단의 찬사를 받았다. 이러한 찬사에 힘입어 그는 지난달 11일 열린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드라마영화 부문 남우주연상을 거머쥐는 영예까지 얻었다.

 

▲영화 <사랑에 대한 모든 것>의 한 장면.

국내 배급사의 홍보자료에 따르면, <사랑에 대한 모든 것>을 향한 언론의 평가는 극찬 일색이다. ‘에디 레드메인의 연기는 매우 놀랍고 진정으로 본능적이다’, ‘숨이 멎을 듯 놀라운 에디 레드메인의 연기는, 연기로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사실적이다’, ‘넋을 빼놓는 에디 레드메인과 펠리시티 존스의 명연기’….

그러나 에디의 연기에 보기 드물게 비판적인 시선을 보내는 이가 있다. 바로 영국 일간지 <가디언>의 칼럼니스트 프란시스 라이언(Frances Ryan)이다. 장애와 페미니즘, 그리고 성소수자 권리에 관해 글을 쓰는 자유기고가인 그녀는 지난달 13일 기고한 글에서 <사랑에 대한 모든 것>에 대해 세간의 시선과는 다소 상반된 평가를 전했다.

라이언의 글이 물론 에디의 연기가 별 볼일 없었다는 주장을 하는 것은 아니다. 그녀 또한 에디의 연기가 훌륭하다는 세간의 평가를 공유하고 있다. 그녀의 비판은 전혀 다른 맥락으로, 비장애인이 장애인 역할을 맡아 연기하는 일반적인 영화 흐름 전반을 향하고 있다. 이런 주장은 글의 제목에 집약적으로 드러난다. “우리는 ‘흑인 흉내’를 내는 배우는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왜 ‘장애인 흉내’를 내는 것에는 박수 치는가?”(We wouldn’t accept actors blacking up, so why applaud ‘cripping up’?)

라이언은 배우 케이트 윈슬렛이 한 드라마에서 “만약 당신이 홀로코스트에 대한 영화를 만든다면, 당신이 오스카상을 받는 것은 따놓은 일일 것이다.”라고 말한 대사를 인용하는 것으로 글을 시작하면서, “이는 장애에 관한 영화에도 똑같이 얘기할 수 있다. 당신이 비장애인 배우라면 말이다.”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그녀는 이런 생각이 과연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인지 되묻는다. 일반적으로 장애인과 같은 소수자 집단으로 여겨지는 흑인의 경우, 흑인 역할을 백인 배우가 맡는다면 대중의 공분을 샀을 텐데, 비장애인 배우가 ‘장애인 흉내’를 내는 연기를 하는 것에는 그러지 않는 것이 이상하지 않느냐는 것이다.

그녀는 “두 경우 모두, 배우들은 소수자 집단의 일원으로 보이기 위해 그들의 외양을 바꾸는 데 소품이나 대체물을 쓴다. 두 경우 모두 소수자를 흉내 내기 위해 목소리나 몸을 조작한다”며 “그들은 진짜 그 (소수자적) 특성을 가진 이들로부터 직업을 빼앗아가고, 그렇게 함으로써, 영화산업에서 이들 집단이 과소대표 되는 현실을 영속화한다”라고 꼬집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 실린 프란시스 라이언(Frances Ryan)의 기고.

그녀는 절단장애를 가진 극작가 크리스토퍼 신(Christopher Shinn)의 말을 인용하면서 비판을 이어갔다. 신에 따르면 비장애인 배우가 장애인 캐릭터를 연기하는 것이 성공하는 이유는 “관객들을 안심시키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즉, “우리가 아는 배우가 연기하는 장애인 캐릭터를 보는 일은 장애에 대한 사회의 공포와 혐오가 ‘마법처럼 초월’되도록 한다”며 “대중문화는 장애를 실제 사람에게 벌어질 수 있는 일로 여기기보다는 하나의 은유로 받아들이는 데에 관심이 있다”는 것이다.

이어 라이언은 “만약 백인 배우가 흑인 연기를 하는 상황에서 이런 논쟁이 벌어졌다면, 우리의 분노가 치솟아 올라 결국 해당 장면은 편집실 바닥에 버려졌을 것”이라며 “인종과 관련해서 우리는 대중의 즐거움을 위해 주류 집단의 일원이 소수자 집단 내 사람의 역사를 묘사하는 것이 옳지 않다고 믿고 있지만, 장애인에게는 그와 같은 자기표현의 권리가 있다고 여기지 않는다”라고 비판했다.

그녀는 “이제는 ‘장애인 흉내’내는 연기에 박수 치기 전에 한번 생각해봐야 할 때”라며 “장애인의 삶은 비장애인 배우가 흉내 내는 것 그 이상이다”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비마이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