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실태조사 발표… “웹사이트 83.2점, 모바일앱 78.1점”
대중성 높은 사이트의 접근성은 여전히 '취약'
미래창조과학부(아래 미래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16일, 웹사이트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접근성 수준을 조사한 ‘2015 정보접근성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정보접근성이란 장애인·고령자 등이 신체적·기술적 조건과 관계없이 웹사이트, 모바일 앱 등 각종 기기를 활용하는 데에 따른 접근성을 의미한다. 이번 조사는 웹사이트 700개, 모바일앱 100개 등 총 800개의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했다.
그 결과, 2012년 이후 3년간 정보접근성 수준은 지속해서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웹사이트는 6.5점('12년 76.7점→'15년 83.2점), 모바일앱은 13.6점('12년 64.5점→'15년 78.1점)으로 향상됐다. 2014년도와 비교하면, 웹사이트는 전년 대비 79.4점→83.2점으로 3.8점, 모바일앱은 76.7점→78.1점으로 1.4점 향상됐다.

조사대상 분야별로 보면, 의료기관('14년 83.9점→'15년 85.2점), 민간법인('14년 80.2점→'15년 82.5점), 방송언론('14년 67.9점→'15년 77.2점), 복지시설('14년 68.7점→'15년 83.1점) 등으로 웹사이트 접근성은 전반적으로 향상됐으나 분야별로 편차가 있었다.
그러나 정작 대중성 높은 웹사이트와 모바일앱의 접근성은 전체 평균보다 낮았다. 랭키닷컴의 순위에 따라 대중성이 높은 웹사이트(100위)와 모바일앱(50위)을 분석한 결과, 각각 78.9점, 77.9점으로 나타나 접근성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미래부는 웹과 앱에서 공통으로 접근성을 준수하지 못한 항목으로는 대체텍스트(장애인 등이 인터넷이나 앱상의 콘텐츠를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대안 서비스)가 꼽혔다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지원, 교육, 홍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송정수 미래부 정보보호정책관은 “이번 조사를 통해 정보접근성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지만 정보접근성 개선을 위한 기업의 관심과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면서 “정보접근성은 기업의 비용이 아닌 사회적 책임”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미래부는 올해 찾아가는 정보접근성 설명회, 표준 마련, 정보접근성 향상 제작기법 제작 ·보급 등 민간기업의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