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합동 TF팀 → 장애인 이동권 협의회’로 정식 기구화
30개 사업 중 5개 완료, 4개 확대 추진 등 상황 점검

서울시의 장애인 이동권 증진을 위해 운영해온 ‘민관 합동 TF팀’이 ‘장애인 이동권 협의회’로 정식 기구화되어 운영된다.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3일 지하철, 버스, 장애인콜택시, 보도 총 네 개 분야에 대한 이동권 증진 내용을 담은 ‘서울시 장애인 이동권 선언’을 선포했다. 이에 대한 구체적 실천을 위해 서울시는 기존 민관 합동 TF팀에서 장애유형과 성별을 고려해 농아인 대표 1명, 여성장애인 대표 1명을 추가 위촉하여, 장애인 이동권 협의회로 전환했다.
이로써 협의회 구성 인원은 총 30명으로 위원장 2명(장애인 명예부시장, 도시교통본부장), 장애인단체 대표 13명, 외부전문가 3명(교통 1, 법률1, 장애인 1), 투자 출연기관 3명(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 서울시설공단), 서울시의원 3명, 서울시 관련 사업과 6명이 참여하게 됐다.
지난 28일 열린 제1차 협의회 회의에서 이들은 이동권 증진을 위한 세부사업 30개 모두 미추진 없이 정상 추진 중임을 확인했다. 현재 30개 사업 중 교통카드단말기 장착 위치 통일, 교통약자용 버스도착정보 안내단말기 개선, 장애인콜택시 증차 등 5개 사업은 완료된 상태다.
또한, 1동선 확보를 위한 지하철 엘리베이터 설치, 자동식 안전발판 설치, 시각장애인 생활·이동지원차량 증차, 횡단보도 및 음향신호기 확대 설치 등 4개 사업은 애초 계획보다 물량이 많아 올해 확대되어 추진된다. 가로변 정류소 주변 이용환경 개선은 ‘무장애 정류소 구축’ 사업으로 대체 추진되며, 지하철 역사에 설치되는 ‘시각장애인용 음성유도기 확대 설치’ 사업은 올해 예산이 감액되어 애초 10개 역에서 3개 역으로 축소 추진될 예정이다.
이 외에 저상버스 도입 등 19개 사업은 애초 계획대로 정상 추진된다. 이에 대한 2016년 소요예산은 1232억2800만 원으로 애초 계획보다 42억9300만 원 증액됐다.
또한, 협의회는 ‘현장 모니터링단’을 별도 운영해 장애인 이동권 증진 실천계획 이행사항과 실태 점검도 실시할 계획이다. 모니터링단은 약 20~30명가량 규모로 장애인단체, 외부전문가, 운영·관리기관, 시·구 공무원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