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장애인고용률 저조한 292곳 명단 발표
이용섭 의원, 국정감사 자료에서 정부부처 비율도 폭로

▲Ⓒ 고용노동부
지난해 장애인 고용률은 민간기업이 1.8%에 그쳐 의무고용률 2%에 미치지 못했고 정부 기관은 겨우 2.1%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고용노동부는 20일 보도자료를 통해 장애인 의무고용비율(지난해 12월 기준)이 1%가 되지 않는 공공기관 17곳과 0.5% 미만인 민간기업 275곳 등 모두 292곳의 명단을 공개했다.

 

공공기간 6곳, 대기업도 80곳 장애인 고용 0

 

장애인 고용률 1%에도 미치지 못하는 공공기관 17곳 중 장애인을 한 명도 고용하지 않는 공공기관이 6곳에 달했다. 문화관광연구원, 지식재산연구원, 형사정책연구원, 통일연구원, 정부법무공단, 재외동포재단 등 6곳은 장애인을 단 1명도 고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을 1명도 채용하지 않은 300인 이상 대기업도 무려 80곳에 달했다. CJ 계열사인 CJ 올리브영과 LG패션, 인터파크, 도미노피자, 한국암웨이, 메가박스 등이 장애인을 한 명도 고용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노동자가 2만7천 명에 달하는 LG 디스플레이의 장애인 고용은 104명으로 0.38%에 그쳤고 4,300여 명의 노동자가 일하는 고려개발(대림 계열)도 0.05%(2명)에 머물렀다. GS리테일은 0.35%(7,600여 명 중 27명), SK브로드밴드는 0.11%(1,700여 명 중 2명)에 불과했다. 이들 업체는 장애인 채용보다 돈으로 대신해 부담금만도 연간 수십억 원에 달했다.

정부는 해마다 장애인고용이 저조한 사업주 명단을 이같이 공표해 실질적인 장애인 고용 확대로 이어지게 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부처가 더 낮아, 의도적으로 명단에서 뺀 것 아닌가 의혹

 

고용노동부가 19일 장애인 의무 고용비율이 낮은 공공기관이나 민간기업 명단을 공개하면서 정작 고용비율이 더 낮은 정부부처는 빼고 발표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을 사고 있다.

 

<2009년말 정부기관, 공공기관, 민간기업 장애인 고용 현황>

(단위 : 명, 2009년 12월 기준)

구  분

대상사업주

적용대상인원

고용의무인원

장애인수

고용률

합 계

22,209

6,091,555

120,277

114,053

1.87

국가 지자체

81

822,749

24,723

16,232

1.97

민간부문

소계

22,128

5,268,806

95,554

97,821

1.86

공공기관

250 

292,086 

5,723주) 

6,156 

2.11

민간기업

21,878 

4,976,720 

89,831 

91,665 

1.84

주) 현재는 의무고용률 2% 적용한 숫자임                             (자료 : 고용노동부)

 

지난 9월 27일 이용섭 의원(민주당)의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정부부처는 공공기관보다 장애인 고용 비율이 낮았다. 지난해 12월 현재 정부부처(국세청 등 청 단위 포함해 81곳)의 장애인 고용 비율은 평균 1.97%로 민간기업(2만1000여 곳) 1.84%보다는 높았지만, 공공기관(250곳) 2.11%보다는 낮았다.

 

또한 정부부처의 장애인 의무고용비율이 3%라는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장애인을 가장 적게 고용하는 곳이 정부부처라는 지적을 피할 수 없다.

 

정부부처 중에서는 외교통상부가 0.84%로 가장 낮았다. 소방방재청 1.5%, 대통령실과 교육과학기술부가 각각 1.75%였다. 3% 의무고용비율을 충족한 정부부처는 81곳 중 고용노동부(3.23%) 등 30곳에 그쳤다. 국회는 1.03%, 대법원 등 사법부는 1.83%였다. 16개 지방교육청 중에서는 전남교육청이 1.74%로 가장 높았다.

 

이용섭 의원은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정부는 장애인 일자리 1만 개를 창출하겠다고 나섰지만, 의무고용률만 지켜도 장애인 일자리 1만 개가 채워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이 의원은 “250개 공공기관 중 장애인 미고용에 따른 부담금을 내는 기관은 95개로 지난해 총 39억8419만 원을 납부했고, 1억 원 이상 기관은 8개 기관으로 총 20억8천만 원 납부해 전체 부담금의 50%를 차지하고 있다”라면서 “고용하기보다 부담금으로 때우려는 공공기관의 해법에 정부가 나서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비마이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