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오후 코로나19 확진자 104명, 사망자 1명
수어 쓰는 농인, 상담받을 수 있는 방법 없어

코로나19에 대한 지역사회 감염이 심각하게 우려되는 가운데, 감염 여부를 상담할 수 있는 1339(질병관리본부)가 여전히 영상통화 지원이 되지 않아 청각·언어장애인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화언어를 쓰는 농인의 경우, 상담받을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이다.
20일 오후, 코로나19 확진자는 22명 추가된 104명이 되었으며, 사망자도 1명 발생했다.
정부는 코로나19가 의심될 경우 바로 1339번으로 전화해 상담받을 것을 안내하나 음성언어 사용이 어려운 청각·언어장애인들은 이를 이용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지역 보건소도 영상전화가 되지 않아 상담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장애의벽을허무는사람들은 20일 이러한 상황을 알리며 “청각·언어장애인들의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면서 “1339는 물론 지역 보건소에서 영상을 통한 민원이나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현재 코로나19 뿐만 아니라 재난에 대한 장애인 안전 대책은 전무한 상황이다.
관련기사
- 복지부 “코로나19로 장애인 자가격리, 활동지원 24시간 지원”
- 장애인, 쪽방 거주민에게 더 가혹한 코로나19, 마스크조차 구할 수 없다
-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 가족 격리로 혼자 남겨진 장애인, 6일 만에 사망
- 여전히 1339 ‘영상통화’ 못 하는 청각장애인들, 인권위에 진정
- ‘신종 코로나’ 정부 브리핑에 수어통역 배치, 장애계 “환영하지만 아쉬움도…”
-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아닌 재난에 대처하기 위해
- 청도 대남병원 장애인, 왜 코로나19 첫 사망자가 됐나
- 메르스 이후 4년, ‘코로나19’에도 장애인 대책 없어… “정부가 더 무섭다”
- “신종 코로나로 어려움에 처한 장애인들 제보해주세요”
- ‘신종 코로나, 어떻게 대처하지?’ 수어 통역 없어 불안한 농인들
- 코로나19로 시작된 대학 온라인 강의, 학습권 침해받는 ‘농학생들’
키워드
#코로나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혜민 기자
skpebble@bemino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