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22일까지

장애인야학에서 공부 중인 학생. 사진 전장야협
장애인야학에서 공부 중인 학생. 사진 전장야협
제2회 장애인평생교육권리 공모전 포스터.
제2회 장애인평생교육권리 공모전 포스터.

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아래 전장야협)가 ‘제2회 장애인평생교육권리 공모전’ 개최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모금 중이다. 작품주제는 장애인야학의 일상, 장애인야학에서 일하는 모습 등의 수기이며 백일장, 시화, 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제출할 수 있다.

1회 공모전 글 부문 공동대상 수상작은 ‘나의 첫 한글, 이발소’다. 학교에 가지 못한 채 재가장애인으로 살다 장애인야학에서 한글을 배운 필자는 “동네 나와서 첫 글자 안 게 이발소라는 글자예요. 그때부터 쭉 글자가 눈에 들어오더라고요. 테레비(텔레비전)에 자막도 읽을 수 있게 됐고요”라고 썼다.

이처럼 장애인은 교육의 권리를 보장받지 못한 채 장애인거주시설이나 집 안에서만 지내는 일이 많다. 2023년 장애인실태조사 결과, 전체 장애인의 51.6%가 중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을 갖고 있다. 배제는 학령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전장야협에 따르면 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율은 2.4%다. 전체 국민의 참여율 32.3%에 비해 현저히 낮다.

전장야협은 “장애인은 야학을 만나 시설과 집 밖으로 나오기 시작했고 사람을 만나서 한글을 배우고 세상을 읽기 시작했다”며 “이렇게 배움을 멈추지 않았던 장애인야학 학생의 목소리를 알리기 위해 공모전과 전시회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공모전 작품제출 기한은 다음 달 5일 오후 11시 59분까지다. 공모전을 개최하기 위한 모금은 다음 달 22일까지 진행된다. 10월에는 수상작 전시회가 열릴 예정이다.

▷ 장애인평생교육권리 공모전 모금 참여하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비마이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