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장애인차별철폐연대와의 면담에서 밝혀
특별교통수단 200%도입, 광역이동지원센터 설치도

경기도가 저상버스 300대 추가 도입 등 장애인 이동권 개선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도청 관계자는 24일 경기도청 앞에서 장애인 이동권 개선을 요구하는 집회를 연 경기장애인차별철폐연대(아래 경기장차연)와의 면담을 통해 △2016년 저상버스 도입계획을 최소 300대로 확대 △2018년까지 특별교통수단 200% 도입 △시·군간 원활한 이동을 위한 광역이동지원센터 내년 8월까지 설치 등을 약속했다.
이와 함께 '경기도 2025년 이동권 선언'을 마련하기 위한 협의기구를 꾸리기로 합의하고, 10월부터 경기장차연과 이동권 협의체를 구성해 가동하기로 했다. 또한, 저상버스 및 특별교통수단 종사자에 대한 장애인교육 라이센스제를 도입하고, 교통약자 사안을 담당하는 직원을 늘리기로 합의했다.
앞서 경기장차연은 집회를 통해 △2016년부터 대폐차 차량 전체에 대한 저상화를 통해 저상버스 100%도입 △특별교통수단 200% 도입 및 광역이동지원센터 설치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종합계획 수립 △교통약자 전담부서 설치 등을 요구했다.
이번 합의와 관련하여 이형숙 경기장차연 상임대표는 "현재 도내 운행 중인 버스가 1만 대를 넘고 저상버스 도입률은 12%에 그친다. 그런데 애초 경기도는 저상버스를 매년 고작 100대 씩만 늘리겠다고 했다"며 "그렇게 되면 100% 달성하기까지 100년 가까이 걸린다는 얘기다. 이런 말도 안되는 계획을 변경하도록 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라고 평가했다.
이 상임대표는 "합의에서 향후 10년을 내다보는 이동권 증진 계획을 논의하기로 한 만큼 경기도와의 협의에 적극 임해 더 큰 성과를 얻도록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