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 반영한다면서, 장애관련 구체목표 ‘미비’

▲1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장애 포괄적 국제개발 협력과 인천전략 이행을 위한 정책간담회'

국내외적으로 장애이슈를 포함한 개발협력이 추진되고 있음에도 지난 10일 정부가 확정지은 '제2차 국제개발협력기본계획'(아래 기본계획)에서는 장애 분야에 대한 고려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장애포럼(KDF),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등의 주최로 1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장애 포괄적 국제개발 협력과 인천전략 이행을 위한 정책간담회'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장애이슈를 포함한 국제개발계획 수립과 이를 위한 범부처적 협력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앞서 지난 10월 제70차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지속가능한 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아래 SDGs)'에서는 국제개발목표에서는 처음으로 장애이슈가 포함되어 많은 관심을 모았다.

또한 기본계획에 기반이 되는 국제개발협력기본법의 제3조 1항을 보면 "국제개발협력은 개발도상국의 빈곤감소, 여성·아동·장애인의 인권향상, 성평등 실현, 지속가능한 발전 및 인도주의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특히나 SDGs 달성을 목표로 하는 이번 기본계획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한 공공기관이 개발도상국의 발전과 복지증진을 위해 직·간접적으로, 무상 혹은 유상으로 개발협력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다. 그러나 세부내용을 보면 장애에 관한 계획이 없어 정부가 장애 민감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이태주 ODA watch 대표는 "이번 기본계획을 살펴보면 중장기 성과목표가 없으며 개발협력 콘텐츠에 대한 고민도 없다"며 "대통령과 장관이 국제무대에서 국민총소득 대비 0.25% 수준까지 공적개발원조(ODA)를 증액하겠다던 약속을 저버렸을 뿐만 아니라 개발협력에 있어 일차적으로 고려해야 할 장애인, 극빈층, 소수자 등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계획 또한 없다"라고 지적했다.

유웅조 국회 입법조사처 정치행정조사실 입법조사관은 "장애인에 대한 특화된 사업의 필요성은 인천전략과 같은 국제적 논의에서 지속해서 제기되었으나 이를 이행하기 위한 논의를 활성화 하는데 있어서는 소홀했다"라고 꼬집었다.

이에 유 입법조사관은 "장애인 당사자의 참여를 제도화할 필요가 있으며 국제개발협력 사업에 대한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의 활성화"할 것을 제시했으며 "환경영향평가와 같이 정책이나 사업 수립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장애관련 평가치를 반영하는 ‘장애인 고려 지수’ 등을 개발할 것“을 주장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는 2012년 아시아·태평양 지역 나라들의 장애포괄적 개발목표를 제시한 인천전략을 얼마나 잘 이행하였는지에 대한 평가도 함께 진행됐다.
인천전략은 빈곤에 처해있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6억 5000만 명의 장애인의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한 10개의 목표와 27개의 세부목표를 세웠다. 회원국들은 3년 마다 43개의 핵심지표와 19개의 보충지표를 통해 평가하여 이를 유엔 에스캅(UN ESCAP) 사무국에 보고한다.
이날 논의에서는 인천전략에서 제시한 평가지표에 한국적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부분을 수정해 35개의 핵심지표와 21개의 보충지표로 평가를 진행했으며, 그중에서 이행과 미이행으로 분류할 수 있는 핵심지표 9개와 보충지표 7개에 대해 발표했다.
이중 미이행한 것으로 나타난 지표는 △국가재난관리 기본계획의 장애 포괄적 대책 △장애여성 별도 데이터 △재난 관련 인력 장애교육 △ICF기준 장애 출현율 △인천전략 이행 측정 데이터 구축이었다. 이는 핵심지표 9개 중 5개가 이행되지 않은 것으로, 정부의 인천전략의 이행에 대한 실천의지가 부족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나운환 인천전략실천위원회 부위원장
이행된 것으로 분류된 △활동보조서비스 프로그램 △차별금지법 입법 △장애 포괄적 관점의 국제개발과, 일부 이행된 것으로 분류된 장애인권리협약 비준 사항 또한 그 질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측정하기 어렵다는 평가가 제기됐다.
나운환 인천전략실천위원회 부위원장은 인천전략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한 방안으로 "목표 달성을 위한 추진일정과 예산, 인력, 평가방법이 포함된 범부처 차원의 로드맵이 마련되어야 한다"며 "아태지역국가, 유엔 에스캅과의 협력을 위해서는 총리실에 전담추진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적절하며 관련 위원회는 전 부처와 함께 장애인 단체가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 부위원장은 "인천전략을 만들어 놓고도 이해관계자들은 이에 대한 인지 조차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보니 기본계획에서도 장애에 관한 사항이 빠진 것"이라며, 국내의 인식부족 문제를 지적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비마이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