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2015년 상반기 장애인 고용 저조 기관 633곳 발표
장애인 고용을 선도해야 할 국회, 교육청 등 국가기관과 거대 기업 집단 상당수가 장애인 고용에 소극적인 모습을 지속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2015년 상반기 장애인 고용 저조 기관 633곳의 명단을 12일 공개했다. 이번 명단에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기관 9곳, 공공기관 20곳, 민간기업 604곳이 장애인 고용 저조 기관으로 뽑혔다.
장애인 공무원 고용률 1.8%, 장애인 노동자 고용률 1.35% 미만인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기관 및 장애인 고용률 1.8% 미만인 공공기관, 장애인 고용률 1.35% 미만인 300인 이상 민간기업이 명단 공표 대상이다. 고용노동부는 이러한 기준에 해당하는 기관 1084곳 중 장애인 고용 노력을 기울인 452개 기관을 제외하고 이번 명단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장애인 공무원 고용이 저조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기관으로는 국회와 8개 지역 교육청이 포함됐다. 특히 국회와 서울, 경기, 부산, 대구, 인천, 충남교육청은 10회 연속 명단에 오르는 불명예를 안기도 했다.
민간기업 중에서는 1000인 이상 기업 144곳, 500~999인 기업 217곳, 300~499인 기업 243곳의 장애인 고용이 부진했다. 특히 30대 기업집단의 경우 SK, LG, 롯데 등 24개 기업집단의 계열사 64곳이 고용 저조 기관 명단에 포함됐다. 계열사 36곳은 2회 이상 연속으로 명단에 포함됐다. 명단에 이름을 올린 계열사가 가장 많은 기업집단은 7곳인 포스코였으며, 동부(5곳), GS, 현대중공업, 한진, 신세계, CJ, 금호아시아나(각 4곳) 등이 뒤를 이었다.
이외에 장애인을 단 한 명도 고용하지 않은 기관은 41곳(공공기관 3곳, 민간기업 38곳)이었고, 2008년 명단 공표 이후 13회 연속 명단에 오른 기관은 4곳이었다.
문기섭 고용노동부 고령사회인력정책관은 “30대 기업, 교육청, 금융업 등 이른바 ‘좋은 일자리’ 대다수가 명단 공표에 포함된 것은 장애인 고용에 대한 우리사회의 무관심이 여전하다는 것”이라며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장애인 고용에 동참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나가겠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