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12일 국무회의에서 장애인고용법 개정안 의결
장애인 공무원을 채용하지 않아 의무고용률에 미달하는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도 장애인 고용부담금을 내게 된다.
정부는 12일 국무회의에서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개정안'이 의결되었다고 밝혔다. 본 개정안은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지키지 않은 국가기관과 지자체에 고용부담금을 부과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금까지는 국가기관과 지자체가 공무원이 아닌 근로자를 의무고용률보다 적게 고용한 경우에만 장애인 고용부담금을 납부했다. 하지만 이제는 공무원 중 적어도 3% 이상을 장애인으로 고용하지 않으면 고용부담금을 내야만 한다.
정부는 이번 개정안이 "공공부문부터 장애인 고용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여 모범을 보이고, 장애인 고용 의무에 대한 책임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용노동부는 향후 더 많은 장애인이 공직에 진출할 수 있도록 국가기관과 지자체에 대한 장애인 의무고용 이행 지도를 한층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개정안은 모든 공공기관의 장애인표준사업장 생산품 우선구매 실적 공고, 고용부담금 신고 오류를 정정할 수 있는 수정 신고 제도 도입, 고용부담금 카드 납부 도입을 통한 신고 편의성 제고 등의 내용도 담고 있다.
관련기사
- 수협 “이르면 2년 안에 장애인 의무고용률 달성할 것”
- 4년간 고용부담금만 10억 낸 수협..."장애인 의무고용 지켜라"
- 고용협약 사업체 중 63% 장애인 의무고용률 미달
- 장애인 의무고용률, 정부 2019년까지 고작 3.4% 제시?
- 장애인의무고용 최악 기업은? '삼성'
- 장애인 의무고용 심하게 안 지킨 802곳 공개
- 2014년 장애인 의무고용률 2.54%, 법정 기준 미달
- 법 지켜야 할 법원, 장애인 의무고용은 위반
- 장애인 고용 선도해야 할 국회·교육청, 장애인 고용 계속 부진
- ‘자회사형 표준사업장’이 장애인 고용 대책? “실망스럽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한별 기자
hbchoi1216@bemino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