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자 90% 이상 구타당하고 강제 노역 동원돼
현재는 당시 피해로 장애 입고 빈곤 겪어
선감학원 아동 인권 침해 사건 피해자 대부분이 구타, 성폭력, 강제 노역 등을 당하며 인권 침해를 겪은 것으로 드러났다. 퇴소 후에도 교육 단절, 장애, 빈곤 등 어려움을 겪어, 선감학원에서 겪은 피해가 삶 전체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재강 경기도 평화부지사는 지난 7일,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선감학원 사건 피해 사례 조사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경기도는 지난 4월 16일에 선감학원 사건 피해자 신고 센터를 개소한 이후 90여 명의 신규 피해 사례를 접수했다. 연구를 수행한 경기연구원은 194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사망자, 주소 불명자, 단순 전화 접수자를 제외한 선감학원 입소자 중 93명이 설문에 응답한 내용을 중심으로 조사 분석을 추진했다.
응답자 평균 연령은 63.5세다. 이들 중 40.4%가 선감학원에 입소할 때 11~13세였다. 입소 기간은 최소 1년 이하에서 최대 11년이었고 평균은 4.1년이다. 2년, 3년간 머물렀다는 응답자가 각각 23%, 22%로 가장 많았다. 이들 대다수는 선감학원에서 기합(93.3%), 구타(93.3%), 언어폭력(73.3%)을 당했다. 이들은 성폭력도 겪었다고 응답했다. 성추행, 강간을 당한 경우가 각각 48.9%, 33.3%로 조사됐다.
강제 노역으로 인한 인권 침해도 심각한 수준으로 드러났다. 응답자의 98%가 풀베기, 잡초 제거, 양잠, 축사 관리, 염전 노동, 농사, 나무 베기 등 노역을 한 경험이 있었다. 일주일 평균 노동일은 6일, 평균 노동시간은 9시간으로 아동 강제 노역 행위가 지속해서 행해지고 있었다. 또한 응답자의 96.7%는 사망자를 목격했다고 응답했다. 시신 처리에 동원된 경우는 48.4%에 이르렀다.
선감학원에서 겪은 피해는 현재의 삶에도 영향을 끼쳤다. 응답자의 85.8%가 교육 단절로 인해 초등학교 졸업 이하 학력을 가지고 있었다. 76.1%는 퇴소 후에 구두닦이, 머슴, 넝마주이 등 저소득 직업군에 종사했다. 현재 기초생활수급자라고 응답한 사람은 37.6%에 달했다. 응답자 중 34%가 장애가 있으며 이들 중 30%는 선감학원에서 입은 피해로 장애를 입었다고 응답했다.
이 부지사는 “이번 연구는 선감학원 진실 규명 조사의 첫 시작이다. 공식적으로 접수된 피해 사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연구다. 보고서는 피해자의 삶이 피폐해진 과정을 관련 문헌과 현장 조사, 설문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선감학원 사건은 국가 폭력에 의한 지속적인 아동 인권 유린 사건이었다는 점에서 진실이 신속하게 규명돼야 한다. 경기도는 오는 10일부터 활동을 재개하는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아래 과거사위) 조사 활동에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선감학원은 일제강점기인 1942년 경기도 안산시 선감도에 만들어진 ‘부랑아’ 수용소다. 해방 이후에는 경기도가 운영권을 이어받아 폐쇄되는 1982년까지 직접 운영했다. 수용 대상은 18세 이하 남성이었는데 대부분 12세 이하 남성 어린이였다.
거리를 배회하며 도심 경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끌려온 4,700여 명의 소년은 불법 감금, 강제 노역, 가혹 행위 등으로 심한 고통을 받았다. 탈출을 기도하다 파도에 휩쓸리거나 영양실조로 사망하는 등 수많은 소년이 희생됐다. 이들 중 일부는 선감도에 암매장당하기도 했다.
한편 제2기 과거사위는 오는 10일 정식 출범한다. 2022년 12월 9일까지 과거사위와 각 지자체 접수처를 통해 진실 규명돼야 할 사건을 신청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