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교육 환경개선 및 수화언어 입법추진 촉구 기자회견' 열어
수화 언어의 법적 지위 보장과 농학생 교육환경 근본 개선 등 요구

▲'농교육 환경개선 및 수화언어 입법추진 촉구 기자회견'이 2일 늦은 2시 청와대 들머리에서 열렸다.

청각장애인들이 자유롭게 공부할 수 있는 교육환경과 의사소통 환경 마련을 위해 농교육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고 수화언어의 법적 지위를 보장하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농교육 환경개선 및 수화언어 입법추진 촉구 기자회견'이 수화언어 권리 확보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아래 수화언어권공대위) 주최로 2일 늦은 2시 청와대 들머리에서 열렸다.

수화언어권공대위는 올해 초부터 농교육의 근본적인 개선과 수화언어의 법적 지위 보장 등을 교육과학기술부(아래 교과부)에 요구해왔고 지금까지 △농학교 교사 수화통역사자격증 취득추진 △농아인 당사자교사 채용확대 △교육에서 정당한 편의 확대 등을 약속받은 상태다.

그러나 교과부는 수화언어권공대위가 수차례 요구해왔던 농교육의 근본적인 개선이나 일반교과에 수화를 제2외국어처럼 택하는 문제 등에 대해서는 어떠한 답변도 내놓지 않고 있다. 이에 수화언어공대위는 교과부의 의지가 한계를 드러냈다고 판단하고 청와대의 관심과 직접적인 제도 개선 방안을 촉구하고 나선 것이다.

수화언어권공대위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청와대에 △한국어와 동등한 언어로서 수화의 법적 지위를 보장할 것 △조기 수화교육 도입 등 농교육의 근본적 문제를 개선할 것 △통합환경에서 수화통역사의 법적 지위를 보장할 것 △수화통역, 문자통역 등 시각적인 수단을 청각장애 학생들이 요구하면 바로 제공할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할 것 △수화언어를 비장애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도록 일반교과에 제2외국어 형태로 채택할 것 △농교육 및 수화언어의 문제 해결에 대해 청와대가 관심을 두고 국무총리의 면담 기회를 제공할 것 등을 요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장애인정보문화누리 김세식 상임이사는 "수화나 구화를 선택해 조기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농교육을 근본적으로 해결해 달라"라면서 "또한, 수화를 영어나 일어처럼 선택해 공부할 수 있도록 일반 교과 과정에 넣어야 하며, 수화가 독자적인 언어로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법령을 개정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대전드림장애인인권센터 박흥기 대표는 "뉴질랜드는 수화를 제2외국어로 택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말 못하는 국민은 국민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라면서 "수화가 제2외국어로 규정돼 농아인과 비장애인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이 만들어졌으면 한다”라고 밝혔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박경석 상임공동대표는 "교과부에 수없이 많은 이야기를 했으나 고민해보겠다거나 노력해 보겠다고만 하고 있다"라면서 "이제 이 문제를 말단 실무자가 아닌 국민으로부터 권력을 받은 대통령이 관심을 두고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한편 수화언어권공대위는 기자회견을 마친 뒤 청와대 민원실에 의견서를 전달했으며, 농교육 환경개선 및 수화 언어의 법적 지위 보장 등의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수화 언어의 법적 지위를 보장 등을 보장하라며 기자회견문을 낭독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비마이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