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고용 이행 노력한 곳은 1019곳에 그쳐
30대 기업 중 24개 기업, 91개 계열사 명단에 포함

장애인 고용 의무가 있는 국가기관, 민간기업 중 올해 하반기에 장애인 고용이 저조했던 곳이 1683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가 30일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13년도 12월 말 기준 장애인 고용이 저조한 곳은 총 2702곳이었다. 장애인 공무원 혹은 노동자 고용률이 1.8% 미만인 국가 기관, 장애인 노동자 고용률 1.3% 미만인 100인 이상 기업이 이에 포함됐다.
 
이에 고용노동부는 지난 5월 장애인 고용이 저조한 기관에 명단 공표 대상임을 알리며 장애인 의무고용을 이행하도록 지시했다. 그러나 9월까지 국가기관 13개소, 민간기업 1670개소가 이를 이행하지 않았으며, 같은 기간 장애인 고용을 위해 실질적인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인정돼 명단에서 제외된 곳은 1019곳에 그쳤다.
 
명단에 포함된 국가기관 중에서는 교육청이 7곳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국회 또한 장애인 고용률 1.47%로 명단에 오르는 불명예를 안았다.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은 단 한 명의 장애인도 고용하지 않았다.
 
민간기업 중에서는 상시노동자 1000명 이상 대기업이 149개소를 차지했으며, 30대 기업 중엔 24개 기업이 장애인 고용이 저조한 기관으로 지목됐다. 24개 기업의 91개 계열사가 명단에 포함됐는데 이 중 72개소는 상반기에 이어 2회 연속으로 장애인 고용 저조 기관으로 꼽혔다.
 
의무 고용 실적이 저조한 계열사가 가장 많이 포함된 기업은 동부, 포스코, GS로 7개 계열사가 기준에 미달했다. LG가 6개 계열사로 뒤를 이었고, 현대자동차, 현대, SK, 한진, KT, CJ 등은 5개 계열사가 명단에 올랐다.

또한 장애인을 단 한 명도 고용하지 않은 기업은 총 694개소로, 그중 641곳(92.4%)이 상시노동자 100~299명 사업체였다.
 
한편 지난해 말 장애인 고용률은 2.48%로, 국가기관의 경우 공무원 고용률 2.63%, 노동자 고용률 3.51%, 기타 공공기관은 2.81%를 기록했다. 민간기업은 2.39%의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30대 기업의 고용률은 1.90%로 평균보다 낮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비마이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