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이튿날
지하철 오체투지와 17번째 삭발

박경석 대표가 지하철에서 오체투지를 하고 있다. 박경석 대표가 입은 검은 점퍼 등판엔 “버스 타고 싶다! 장애인이동권연대”라는 하얀 글자가 희미하게 쓰여 있다. 취재하는 기자들이 그를 에워싸고 있다. 사진 이슬하
박경석 대표가 지하철에서 오체투지를 하고 있다. 박경석 대표가 입은 검은 점퍼 등판엔 “버스 타고 싶다! 장애인이동권연대”라는 하얀 글자가 희미하게 쓰여 있다. 취재하는 기자들이 그를 에워싸고 있다. 사진 이슬하

21일 아침 7시 24분, 3호선 경복궁역(독립문역 방향). 박경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아래 전장연) 대표가 지하철 바닥에 배를 대고 납작하게 누웠다. 그가 손에 쥐고 있던 스티커들을 하나씩 바닥에 붙였다. 스티커에는 “장애인평생교육시설 국비 지원하라” “하루 24시간 활동지원예산 보장하라” “탈시설 권리보장 예산 6224억원으로 보장하라” 등의 글자가 쓰여 있었다. 번쩍이는 플래시와 함께 기자들의 카메라 셔터가 연이어 터졌다. 네댓장의 스티커를 바닥에 붙이던 그가 마이크를 붙잡고 이야기했다. 덩어리진 말을 뱃속에서부터 끄집어내는 듯, 말과 말 사이엔 자꾸 숨이 차서 쉼표가 찍혔다. 

“저희가 21년을 이렇게 외쳤는데, 되지 않는 이유는요, 기재부가 법에 명시된, 이동할 권리, 교육받을 권리, 지역사회에서 노동할 기회를 가질 수 있는 권리, 감옥 같은 시설이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는 권리에 대한 예산을, 보장하지 않아서 생긴 일입니다. 추경호 기재부 장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에서 장애인권리예산에 대해) 검토해서 답하겠다고 하시면, 내일이라도 저희는 지하철 출근길 막아가면서, 시민들께 이렇게 불편 끼치면서 이야기하는 것, 멈추도록 하겠습니다. 

기재부 인사청문회 참여하는 더불어민주당 의원님들, 반드시 질문해 주십시오. 답을 받아 주십시오. 기재부 장관 인사청문회가 5월 2일에 있다고 합니다. 제발 꼭, 답을 받아주십시오. 검토하겠다는 답이 아니라, 법에 명시된 예산을 반영하겠다는 답을 받아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저희가 이야기하는 것은, 비장애인들 권리와 장애인의 권리가 너무나 불평등하다는 겁니다. 왜 권리가 불평등해야 합니까. 헌법엔 법 앞에 누구나 평등하다고 했습니다. 누구나 차별받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국민의힘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탈시설 권리가 명시되어 있는데, 장애인단체 간 이견이 있다고, 또 장애인단체 간에 갈라치기 합니다.”

오늘도 그는 20년 전, 이동권 투쟁 때 만든 점퍼를 입고 나왔다. 검은 점퍼 등판에 쓰인 “버스 타고 싶다! 장애인이동권연대”라고 쓰인 하얀 글자는 그의 머리카락처럼 희끗해졌다.  

그는 지하철 바닥에 스티커를 지문처럼 남기고는 아주 느리게, 앞으로 기었다. 바닥에 댄 팔꿈치에 힘을 주어 상체를 앞으로 당기면 마비된 그의 다리도 같이 끌려 왔다. 취재진도 그를 따라 아주 느리게, 이동했다. 기어가는 그의 뒤에서 비장애인 활동가가 텅 빈 그의 수동휠체어를 밀면서 따랐다. 

박 대표의 뒤에 있던 장애인 활동가들도 하나둘 휠체어에서 내려와 바닥을 기기 시작했다. 기자가 카메라를 들이대자 한 장애인 활동가가 왼손을 들어 올려 “투쟁”을 외쳤다. 

21일 목요일 아침 출근길, 3호선 지하철 안에서 벌어진 일이다. 그 전날까지 전장연은 인수위로부터 장애인권리예산에 대한 답이 오길 기다렸으나 끝내 받지 못했고, 결국 다시 출근길 지하철에 올랐다. 

지하철에 오른 장애인들은 그들의 속도대로 움직였다. 어떤 이는 무릎으로 움직였고, 또 누군가는 두 손과 두 발로 기었다. 비장애인의 무릎 아래 납작 엎드린 채 1시간 20분이 흘렀다. 지하철 연착이 길어지자 시민들의 욕설이 우박처럼 쏟아졌고, 경찰은 지하철을 타려는 활동가들의 목을 조르고, 팔을 밟고, 몸뚱이를 내동댕이쳤다. 아비규환의 현장이었다. 

지하철 시위를 마친 후엔 머리카락을 깎았다. 열일곱 번째 삭발이다. 무참해진 마음으로 그 자리에서 반듯하게 머리를 깎은 다섯 명의 활동가가 다시 고개를 들었을 때, 눈빛이 하염없이 빛났다. 사람들은 “끝까지 싸워서 인간답게 살아보겠다”고 다짐했다. 평범한 그 말들이 단단한 미래를 조직했다.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이튿날의 모습을 사진으로 전한다. 

박경석 대표가 지하철에서 오체투지를 하고 있다. 박경석 대표가 입은 검은 점퍼 등판엔 “버스 타고 싶다”라는 하얀 글자가 희미하게 쓰여 있다. 취재하는 기자들이 그를 에워싸고 있다. 사진 이슬하
박경석 대표가 지하철에서 오체투지를 하고 있다. 박경석 대표가 입은 검은 점퍼 등판엔 “버스 타고 싶다”라는 하얀 글자가 희미하게 쓰여 있다. 취재하는 기자들이 그를 에워싸고 있다. 사진 이슬하
박경석 대표가 지하철에서 오체투지를 하고 있다. 사진 이슬하
박경석 대표가 지하철에서 오체투지를 하고 있다. 사진 이슬하
박경석 대표가 지하철에서 오체투지를 하고 있다. 지하철 의자에 앉은 승객들이 그를 바라보고 있다. 사진 이슬하
박경석 대표가 지하철에서 오체투지를 하고 있다. 지하철 의자에 앉은 승객들이 그를 바라보고 있다. 사진 이슬하
박경석 대표의 빈 휠체어. 휠체어 바퀴 바닥에는 그가 오체투지를 하며 붙인 스티커가 붙어 있다. 사진 강혜민
박경석 대표의 빈 휠체어. 휠체어 바퀴 바닥에는 그가 오체투지를 하며 붙인 스티커가 붙어 있다. 사진 강혜민
기자가 카메라를 들이밀자 오체투지 중인 장애인 활동가가 “장애인권리예산 보장하라! 예산 없이 권리 없다!”라고 적힌 몸피켓을 펼쳐 보이고 있다. 사진 강혜민
기자가 카메라를 들이밀자 오체투지 중인 장애인 활동가가 “장애인권리예산 보장하라! 예산 없이 권리 없다!”라고 적힌 몸피켓을 펼쳐 보이고 있다. 사진 강혜민
문경희 세종장애인차별철폐연대 공동대표가 오체투지를 하고 있다. 왼손으로는 “탈시설 권리보장 예산 6224억으로 보장하라”고 적힌 피켓을 바닥으로 밀면서 가고 있다. 사진 강혜민
문경희 세종장애인차별철폐연대 공동대표가 오체투지를 하고 있다. 왼손으로는 “탈시설 권리보장 예산 6224억으로 보장하라”고 적힌 피켓을 바닥으로 밀면서 가고 있다. 사진 강혜민
오체투지를 하는 장애인 활동가. 그의 양옆으로 비장애인들이 서 있다. 사진 이슬하
오체투지를 하는 장애인 활동가. 그의 양옆으로 비장애인들이 서 있다. 사진 이슬하
오체투지를 하는 장애인 활동가. 그의 양옆으로 비장애인들이 서 있거나 의자에 앉아 있다. 사진 이슬하
오체투지를 하는 장애인 활동가. 그의 양옆으로 비장애인들이 서 있거나 의자에 앉아 있다. 사진 이슬하
오체투지를 하는 장애인 활동가. 그의 양옆으로 비장애인들이 서 있거나 의자에 앉아 있다. 사진 이슬하
오체투지를 하는 장애인 활동가. 그의 양옆으로 비장애인들이 서 있거나 의자에 앉아 있다. 사진 이슬하
경복궁역 승강장 계단에 “기획재정부 규탄한다! ‘할 수 있다’와 ‘해야 한다’는 천지차이!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라고 적힌 하얀 종이가 붙어 있다. 사진 강혜민
경복궁역 승강장 계단에 “기획재정부 규탄한다! ‘할 수 있다’와 ‘해야 한다’는 천지차이!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라고 적힌 하얀 종이가 붙어 있다. 사진 강혜민
오체투지를 하는 장애인 활동가의 전동휠체어가 비어 있다. 그의 옆에 비장애인 활동가가 “대한민국은 기획재정부의 나라가 아니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라고 적힌 종이를 들고 서 있다. 사진 강혜민
오체투지를 하는 장애인 활동가의 전동휠체어가 비어 있다. 그의 옆에 비장애인 활동가가 “대한민국은 기획재정부의 나라가 아니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라고 적힌 종이를 들고 서 있다. 사진 강혜민
3호선 경복궁역 지하철 안. 비장애인 활동가가 “장애인 이동권 보장하라!”고 적힌 대형 피켓을 들고 있고, 휠체어를 탄 장애인 활동가들이 일렬로 들어오고 있다. 그의 옆으로 승객들이 앉아 있다. 사진 강혜민
3호선 경복궁역 지하철 안. 비장애인 활동가가 “장애인 이동권 보장하라!”고 적힌 대형 피켓을 들고 있고, 휠체어를 탄 장애인 활동가들이 일렬로 들어오고 있다. 그의 옆으로 승객들이 앉아 있다. 사진 강혜민
3호선 경복궁역 지하철 안. 경찰이 탑승 자체를 막아서자 장애인 활동가가 강하게 항의하고 있다. 사진 강혜민
3호선 경복궁역 지하철 안. 경찰이 탑승 자체를 막아서자 장애인 활동가가 강하게 항의하고 있다. 사진 강혜민
지하철 연착 투쟁 후 삭발 투쟁을 위해 모인 사람들. 이날 다섯 명의 활동가가 삭발했다. 사진 강혜민
지하철 연착 투쟁 후 삭발 투쟁을 위해 모인 사람들. 이날 다섯 명의 활동가가 삭발했다. 사진 강혜민
모경훈 하나은평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이 삭발하고 있다. 사진 강혜민
모경훈 하나은평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이 삭발하고 있다. 사진 강혜민
삭발하는 모습. 하얀색 장갑을 낀 손이 보인다. 그 아래 바리캉으로 머리카락이 잘려 나가고 있다. 사진 강혜민
삭발하는 모습. 하얀색 장갑을 낀 손이 보인다. 그 아래 바리캉으로 머리카락이 잘려 나가고 있다. 사진 강혜민
삭발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활동가의 모습. 사진 강혜민
삭발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활동가의 모습. 사진 강혜민
삭발하는 김예진 인천 민들레장애인야학 교사가 두 눈을 질끈 감고 울고 있다. 사진 강혜민 
삭발하는 김예진 인천 민들레장애인야학 교사가 두 눈을 질끈 감고 울고 있다. 사진 강혜민 
삭발하는 김예진 인천 민들레장애인야학 교사가 두 눈을 질끈 감고 울고 있다. 사진 강혜민
삭발하는 김예진 인천 민들레장애인야학 교사, 유재근 인천 민들레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가. 사진 강혜민
삭발 후, 임경미 옥천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이 발언하고 있다. 그의 이마에 “장애인권리예산 쟁취”라는 머리끈이 매여 있다. 사진 강혜민
삭발 후, 임경미 옥천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이 발언하고 있다. 그의 이마에 “장애인권리예산 쟁취”라는 머리끈이 매여 있다. 사진 강혜민
삭발 투쟁 후 마무리 집회를 위해 이동하던 중 도로를 점거한 장애인 활동가들. 사다리로 서로의 몸을 묶었다. 사진 이슬하
삭발 투쟁 후 마무리 집회를 위해 이동하던 중 도로를 점거한 장애인 활동가들. 사다리로 서로의 몸을 묶었다. 사진 이슬하
삭발 투쟁 후 마무리 집회를 위해 이동하던 중 도로를 점거한 장애인 활동가들. 사다리로 서로의 몸을 묶었다. 사진 강혜민
삭발 투쟁 후 마무리 집회를 위해 이동하던 중 도로를 점거한 장애인 활동가들. 사다리로 서로의 몸을 묶었다. 사진 강혜민
경찰이 철제 바리케이드를 치자 문애린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이 항의하고 있다. 사진 강혜민
경찰이 철제 바리케이드를 치자 문애린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이 항의하고 있다. 사진 강혜민
마무리 집회에서 박경석 대표가 특별교통수단으로 시외간 이동을 잇는 투쟁을 하자고 이야기하며 주먹을 불끈 쥐고 있다. 사진 강혜민
마무리 집회에서 박경석 대표가 특별교통수단으로 시외간 이동을 잇는 투쟁을 하자고 이야기하며 주먹을 불끈 쥐고 있다. 사진 강혜민
“투쟁”을 외치는 활동가들의 모습. 사진 이슬하
“투쟁”을 외치는 활동가들의 모습. 사진 이슬하
“투쟁”을 외치는 활동가들의 모습. 사진 강혜민
“투쟁”을 외치는 활동가들의 모습. 사진 강혜민

 

관련기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비마이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