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TV 토론회 마지막 1분 발언 ‘장애인 지하철 시위’ 언급
“현 상황에 대한 책임은 장애인이 아닌 정치권에 있다”
장애계 “주요 대선 후보들 입장 밝힐 때까지 선전전 이어 나갈 것”
심상정 정의당 후보가 21일 방영된 대선 후보 TV토론회에서 마지막 1분 발언을 ‘장애인 지하철 선전전’을 언급하는 데 사용했다.
21일 오후 8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관하는 여야 대선후보 4인 TV 토론회가 열렸다. 이번 토론회는 후보 등록이 이뤄진 후 열리는 첫 TV 토론으로 경제 정책 전반에 대해 120분에 걸쳐 진행됐다.
토론회가 마무리되는 마지막 1분 발언 시간에 심상정 후보는 “시민 박경석이 보내주신 1분 발언을 하겠다”고 운을 뗀 뒤 “장애인들이 매일 아침 이동권 예산을 촉구하면서 지하철에서 시위를 하고 있다. 아침에 지하철로 출근하는 분들도 많은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고 이야기했다.
이어서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 대한 책임은 장애인에게 있는 게 아니라 세계 10위 경제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에게 이동권조차 보장하지 못한 정치권에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대선후보로서 매우 죄송하다. 이동권 예산 뿐만 아니라 장애인이 인간다운 대접을 받을 수 있는 장애 선진국 만들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이러한 입장에) 이 자리에 있는 후보님들도 다 동의할 거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이제 시위를 거두시고,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장애인 선진국 나라가 될 수 있도록 함께 성원하겠다”고 말했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아래 전장연)는 지난해 12월 6일부터 매일 아침 8시, 기획재정부에 장애인권리예산을 요구하는 아침 선전전을 혜화역 승강장(동대문 방향)에서 하고 있다. 또한, 대선 후보들에게 장애인권리예산 보장 약속을 요구하며 아침 7시 30분부터는 ‘출근길 지하철 타기’를 진행 중이다.
전장연은 심 후보 발언이 있은 다음 날인 22일 아침 7시 30분에도 출근길 지하철 타기를 진행했다. 출근길 지하철 타기는 지난해 12월 3일부터 22일까지 총 20회 이뤄졌다.
전장연은 22일 발표한 입장문에서 “이재명, 윤석열, 안철수 후보도 심 후보의 1분 발언에 동의하는지 절실한 마음으로 묻는다”면서 “장애인이동권 투쟁이 시작된 2001년부터 이뤄진 21년 간의 외침은 교통약자법(2005년 제정)에 명시된 이동권을 비롯한 장애인권리예산을 기획재정부가 책임지지 않아서 발생한 문제다. 따라서 정치권의 책임이 크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장연은 주요 대선 후보들이 TV 토론회에서 시민들 앞에서 공개적으로 응답할 때까지 시민들 불편을 최소화하는 선에서 ‘출근길 지하철 탑시다(오전 7시 30분~9시)’ 투쟁을 계속하겠다”면서 대선 후보들에게 장애인권리예산에 대한 약속을 촉구했다.
한편, 전장연은 장애인권리예산으로 △장애인 특별교통수단 운영비에 대한 국비 책임 및 보조금법 시행령 개정 △장애인평생교육시설 운영비에 대한 국비 책임 및 보조금법 시행령 개정 △장애인활동지원 하루 최대 24시간 보장 △장애인 탈시설 예산 24억 원을 거주시설 예산 6224억 원 수준으로 증액 반영 등을 요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