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위에서, 내가 되다” 발달장애 청년들이 말하는 ‘나의 삶, 나의 자립’발달장애인은 ‘나’로 살아갈 수 있을까, 발달장애인 청년들이 직접 답했다“지능이 사람의 가치를 정한다는 사회, 그 속에서 발달장애인은 어떻게 살아가고 있을까.”“○○는 지능 순”, “○○는 지능 문제야” 일상에서 흔히 들리는 말들이다. 흔히 아이큐(IQ)가 지능의 전부인 것처럼 오해되지만, 이는 낡고 잘못된 관념일 뿐이다...
장애인·성소수자 등 “차별·혐오 선동하는 안창호 인권위원장 사퇴하라” 30년, 여전히 규명되지 않은 의문사, 이덕인의 죽음 대만, 장애인 간병 살해 권고 밝힌 의사, 대만 장애계 “생명권 침해” 복지부, 활동지원제도 개편 TF 출범…24일 첫 회의
2026년 이재명정부 첫 장애예산 국토부, 국회 예산 심의에서 장애인콜택시 인건비 예산 수용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2026년 국토교통부 예산 심의에서 특별교통수단(장애인콜택시) 대기시간 문제 해소를 위한 운전원 인건비 예산이 통과됐다.국회 국토위 예산결산심사소위원회(아래 ... 이재명, 국회에서 시정연설…장애인 권리 어떻게 말했나 4일 오전 10시 10분 이재명 대통령이 국회에서 2026년 정부 예산안에 대한 시정연설에 나섰다. 이 대통령은 AI와 경제성장에 대해서는 연설 내내 강조하는 모습을 보인 반면 장... 728조 ‘슈퍼예산’? 전장연 “장애인권리 무시하는 ‘가짜예산’” 이재명 정부가 내년도 예산안으로 728조 원을 편성했다. 본예산 규모가 700조 원이 넘은 건 역대 처음이다. 언론은 앞다퉈 ‘역대급 슈퍼예산’이라 보도했다.그러나 장애인들의 반응...
해외 장애 뉴스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각종 장애인 서비스 중단 위기 지난 10월 1일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Shut-down)으로 저소득층 식품 구매 지원 등 장애인과 관련된 복지 서비스들이 중단 위기에 놓이며 미국 장애인 단체들의 우려가 커지고... 팔레스타인 장애인 “타인에게 생존을 의존해야 하는 심각한 상황” 지난 9월 3일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아래 위원회)가 가자지구와 서안지구를 포괄한 ‘팔레스타인 상황에 대한 특별보고서’를 발표했다. 위원회는 현재 팔레스타인 상황이 유엔장애인권리협약... 아르헨티나 국회, 대통령 거부권 뚫고 장애예산 증액…그런데? 지난 4일 아르헨티나 국회가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이 행사한 ‘연금 및 장애연금 인상법(아래 연금인상법)’ 거부권에 대응하여 ‘장애긴급법’을 통과시켰다. 하지만 22일 밀레이 대통...
오피니언 [형숙의 운동기⑥] ‘10회 운동하기’ 목표 달성!! / 탁영희 탁영희 자랑스러운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회장 이형숙이 아니라, 67년생 중년 여성이며 장애운동을 끔찍이 사랑하는 장애 당사자 이형숙의 운동(exercise)기.이 운동기는 이형숙 본...
장애일반 검찰, ‘출근길 지하철 행동’ 벌인 전장연 활동가에 징역 3년 구형 김소영 기자 “지금 많은 생각들이 들고 있는데요. 제가 장애인의 권리를 위해 활동해 오고 있는 지도 20년이 다 되고 있습니다. 그사이에 저상버스도 생기고 지하철에 엘리베이터도 생겼지만 오늘 ...
탈시설·자립생활 “자립 이후, 처음으로 행복이 찾아왔다” 탈시설증언대회 나선 장애인들 김소영 기자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등이 주관한 ‘2025년 탈시설 당사자 증언대회’가 지난 17일 오후 2시 서울여성플라자에서 열렸다. 이날 장애인거주시설에서 탈시설...
빈곤 “빈곤 끝낼 방법은 공공성” 500명 서울 도심 행진 하민지 기자 1017 빈곤철폐의 날을 맞아 시민 500여 명이 서울 도심을 행진했다. 이들은 18일 오후 1시 30분, 서울시 종로구 보신각에서 1시간 30분가량 결의대회를 열고 오후 3시부터...
사회 내년 개헌 앞두고 소수자 인권단체 모였다 이재민 기자 다가올 개헌 논의를 앞두고 다양한 소수자 인권 단체 활동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지난 18일 ‘소수자 인권과 평등권을 위한 헌법개정 과제’ 토론회가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 아름드리홀...
인기기사 01 [속보] 전장연, 4호선 지하철 시위 “국회·기재부, 장애인예산 보장하라” 02 검찰, ‘출근길 지하철 행동’ 벌인 전장연 활동가에 징역 3년 구형 03 "장애인 예산 없는 26년 예산 통과 안 된다"…전장연, 국회 향해 지하철 시위 04 [속보] 전장연, 광화문역 무정차 고립 “장애인권리예산 보장하라” 05 장애계 반대 속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면제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06 임태희 교육감, 제3자 녹음 인정 주장에 “녹음기 보낼 정도면 가정학습 해야” 07 경계선지능인, 제도권 밖에 놓인 삶… “생애주기 지원 위한 입법 시급” 08 [속보] 대전장차연, 특별교통수단 국비 반납 비판하며 시청 농성 09 “자립 이후, 처음으로 행복이 찾아왔다” 탈시설증언대회 나선 장애인들 10 학대행위 입증 위한 제3자 대화 녹음 인정 법안 발의됐다